
서울의 초미세먼지는 자동차 배출가스와 석탄 발전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한·중 대기질 공동연구단이 2017년 이후 양국의 초미세먼지 특성 비교 분석 1단계 공동연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두 도시의 초미세먼지 성분은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유기물질 등으로 비슷했는데 조성비를 보면 서울은 질산암모늄이 25%, 황산암모늄 25%, 유기물질 28%, 지각물질 등 22%였다. 반면 베이징은 질산암모늄이 22%, 황산암모늄 11%, 유기물질 44%, 지각물질 등 23%였다.
질산암모늄은 자동차 배출가스에서, 황산암모늄은 석탄발전소 가동 때 주로 발생한다. 유기물질은 난방 등에 쓰이는 화석연료에서 배출된다. 따라서 서울의 초미세먼지 발생 주 원인은 자동차 배출가스와 석탄발전소인 것으로 파악됐다. 베이징은 화석 연료를 쓰면서 배출되는 유기물질이 초미세먼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과학원은 “중국 정부가 석탄발전을 줄이는 에너지 구조조정 정책을 시행하면서 질소·황산암모늄 비율이 낮아지고 있지만 난방을 하는 겨울철에는 유기물질 조성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연구는 초미세먼지의 월경 문제와 관련이 없고, 두 도시의 초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따져보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덧붙였다.
환경과학원은 향후 배출량 현지 조사, 배출항목(인벤토리) 구축 등 추가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로 했다.
공동연구단은 또 베이징 외에 바오딩, 창다오, 다롄 등 북동부 도시 3곳의 초미세먼지 조성비를 분석한 결과를 내년에 내놓을 예정이다.
2015년 6월 현지 개소식을 한 공동연구단은 2018년 한·중 환경협력센터, 2019년 한중 환경부 장관의 ‘청천(靑天·맑은 하늘) 프로젝트’ 서명 등으로 이어지며 양국 정책 협력을 위한 마중물 역할도 했다. 공동연구단은 올해 청천 계획에 따라 지상관측 분석 항목을 확대하고 입체관측을 추진하는 등 공동 연구를 확대하는 방안을 협의한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