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가 경찰청에 김기현 전 울산시장 관련 첩보를 하달하기 이전인 2017년 여름부터 울산 지역에서는 김 전 시장에 대한 모종의 뒷조사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은 이러한 뒷조사를 행한 인사들이 누구인지, 만일 청와대 특별감찰반원들이었다면 근거가 있는 일이었는지 따져볼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부적절한 뒷조사에 도움을 준 지역의 인물이 있는지도 향후 규명 대상이다.
1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검찰은 김 전 시장에 대한 범죄첩보에 사찰 수준의 내용이 담긴 점에 대해서도 문제의식을 갖고 경위 파악 목적의 수사를 진행해 왔다. 지역 사회에서 당시 사정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2017년 여름부터 김 전 시장과 관련해 울산에서 탐문을 다니는 사람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들이 김 전 시장 주변에 대해 파악하는 일들은 김 전 시장에게도 거꾸로 전달됐고, 이에 김 전 시장은 크게 불쾌해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울산 지역에서는 김 전 시장과 관련한 비위 5가지가 언급된 ‘리스트’가 돌았다고 한다. 이 가운데에는 김 전 시장이 한 공무원을 승진하게 해 주고 도움을 받았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김 전 시장은 명백한 허위사실이라며 격노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지난해 경찰의 수사는 리스트에 언급된 내용을 중심으로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청와대가 경찰청에 첩보를 하달한 2017년 11월 초보다 앞서 이 같은 일이 울산에서 벌어진 점을 주목했다. 건설업자 김모씨를 통해 청와대와 정치권에 투서가 전달되기 이전부터 일종의 사전 작업이 있었던 것은 아닌지 의심했던 것이다. 검찰은 첩보 하달 이전부터 울산경찰청이 수사를 준비했을 가능성도 열어 두고 울산 경찰 관계자들의 서면조사 등을 진행해 왔다. 범죄첩보에는 “기존 경찰 수사팀의 수사가 부진하다”는 언급이 있었다.
검찰은 또 한편으로는 건설업자 김씨의 사기 혐의를 포착해 수사를 펼쳤다. 김씨의 사기 피해자 가운데에는 극단적인 선택을 한 이가 있었고, 법원은 김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었다. 김씨는 울산지검에서 조사를 받던 중 조사실에서 자해 소동을 벌였다. 사정 당국 관계자는 “중형이 구형된 데 이유가 다 있다”고 말했다.
지역에서는 김씨가 당시 울산경찰청장으로서 김 전 시장 수사를 총괄했던 황운하 대전경찰청장에게 수사팀원 교체를 건의했다는 말도 돈다. 황 청장은 “김씨가 누구에게 이야기를 했는지 모르지만, 나는 김씨와 만나긴커녕 전화통화도 한 사실이 없다”고 말했다. 황 청장은 “자유한국당 쪽에서 온갖 말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말했다.
박상은 구자창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