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민중심으로 소통체계 개선…정책 수립 국민도 참여한다

Է:2019-09-25 11:46
ϱ
ũ
'산림정책 소통체계 개선 종합대책'을 통한 향후 소통체계 구상도. 산림청 제공

앞으로 산림 관련 정책 수립 단계에 국민이 참여하고, 산림 관련 유관기관들의 역할이 강화될 전망이다.

산림청은 25일 국민참여 강화를 위한 ‘산림정책 소통체계 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내 삶을 바꾸는 숲, 숲 속의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추진되는 이번 대책은 국민·산림청·지자체·유관기관·협의체 및 단체 등 5개 대상별 15대 중점 추진과제가 포함됐다.

산림청은 먼저 국민 체감도 향상을 위해 산림정책 수립 과정부터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이를 위해 각 분야에 종사하는 국민을 중심으로 정책 패널을 구축, 산림에 대한 인식과 서비스 수요를 파악해 정책 수립 단계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유림 경영·관리와 벌채 등 산림사업에 국민이 참여하는 현장 모니터링단을 운영하고 미세먼지 저감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참여형 의사결정 모델도 발굴한다.

조직 내부 소통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주니어보드·정책토론방 등을 운영해 직원 스스로 조직 내 문제를 짚을 수 있도록 한다.

정책파트너인 지자체와의 소통·협력강화를 위한 대책도 마련됐다.

이를 위해 산림청과 지자체 간 인사교류를 확대하는 한편, 산림분야 워크숍 등을 사례공유·토론 중심으로 개선해 지자체 담당자들의 참여도를 높인다.

또 지역 현안 공유를 위한 지자체·지방산림청 주도의 산림분야 협의회를 운영하고, 각 시·군별 산림계획을 수립하고 지역협의체 구성을 지원한다.

산림청은 이밖에 산림분야 공공기관 및 산림조합 등 유관기관과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구상도 내놨다.

이는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분야별 협의회·단체와의 상시 소통채널을 구축하고, 민간주도의 사업모델 발굴을 통해 실현한다는 복안이다. 또 산림조합의 전국적인 조직과 인력을 바탕으로 임업인·국민과 접촉해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임업·복지 등 분야별 산림관련 단체들과의 정기적인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소규모 단체들의 자립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소규모로 분산된 협의회와 단체들이 스스로 소비촉진, 품질향상 및 수급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품목별 자조금 단체 구성을 지원한다.

김재현 산림청장은 “조직 내부적으로는 수평적 소통을 기반으로 산림행정을 혁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관 협업과 국민참여를 확대할 것”이라며 “앞으로 사람 중심 산림정책을 적극 추진해 숲 속의 대한민국을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