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회사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가 423만명으로 파악됐다. 다중채무자는 5년 새 20% 넘게 늘었다. 이들이 진 빚은 500조원을 돌파했다. 1인당 1억2000만원이다. 채무자 맞춤형 상담과 복지정책을 조합해 서민들이 ‘대출 돌려막기’로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제윤경 의원(더불어민주당)이 25일 나이스평가정보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다중채무자는 422만7727명이다. 다중채무자는 2014년 말 351만1431명이었다. 거의 5년 만에 71만6296명(20.4%)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전체 채무자는 1938만3969명이다. 채무자 5명 가운데 1명꼴로 다중채무자인 셈이다.
다중채무자의 채무 잔액은 508조9157억원이다. 지난해 500조원을 넘어섰다. 2014년 말(344조3095억원)과 비교하면 빚은 47.8% 불어났다. 다중채무자가 20% 증가하는 사이 이들이 진 빚이 50% 가까이 늘면서 1인당 평균 채무 규모는 9805만원에서 1억2038만원으로 커졌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4곳에서 돈을 빌린 경우는 107만4893명, 5개 넘는 곳에서 빌린 경우는 96만5810명이다.
다중채무자 중 청년·노년층은 6명에 1명꼴로 나타난 바 있다. 이들은 소득이 적거나 불규칙한 경우가 많아 취약한 계층으로 꼽힌다. 나이스평가정보의 지난해 9월 말 자료를 보면 다중채무자 421만6143명 중 29세 이하는 30만868명, 60세 이상은 40만9433명이다. 합치면 71만301명, 전체의 16.8%다.
다중채무 문제는 직장인보다 자영업자에게 더 치명적일 수 있다. 상대적으로 대출 규모가 크고, 그만큼 ‘돌려막기’ 개연성도 크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최근 보고서에서 “은행, 저축은행, 카드사 등 여러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자영업자가 2015년 이후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자영업자의 채무불이행이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번질 위험도 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