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용인시가 ‘초등학생 돌봄 서비스’를 대폭 확대하기 위해 발벗고 나섰다. 시립지역아동센터를 신설하고 다함께돌봄센터를 추가 설치한다. 또 주민자치센터에서 돌봄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관련 조례를 개정하며 작은도서관의 아이돌봄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이밖에도 마을공동체 사업에 아이돌봄 공동체 분야를 추가키로 했다.
이는 백군기 시장의 맞벌이 부부들이 마음 놓고 직장생활을 할 수 있도록 시의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아이돌봄 채널을 대폭 확대 하겠다는 시정 철학에 따른 것이다.
용인시는 이 같은 내용의 ‘초등학생 돌봄 서비스 확대 방안’을 구체화해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먼저 시립지역아동센터를 처음으로 신설해 30여명의 어린이를 돌본다. 이는 현재 민간에서 운영하는 35개 지역아동센터와는 별개다.
현재 2개소인 다함께돌봄센터도 내년에 4개소를 확대해 총 6개소가 160 여명의 어린이들을 돌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 각 읍·면·동 주민자치센터가 본격적으로 아이돌봄 체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주민자치센터 설치 및 운용 조례’를 개정해 돌봄교실 운영 시 사업비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작은도서관도 아이돌봄 서비스의 한 축을 맡게 된다. 시는 현재 4개 작은도서관에서 시행 중인 아이돌봄 독서문화프로그램을 내년에 4개소를 추가해 8개소에서 운영하고 점차 시 전역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이밖에도 마을공동체가 방과 후 초등학생 돌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을공동체 사업에 ‘아이돌봄 공동체’ 분야를 신설한다.

시는 관내에 현재 6만9945명의 초등학생이 있지만 돌봄서비스를 받는 초등학생은 5504명(7.9%)에 불과하다며 기존의 시스템만으로는 돌봄 수요를 확충하는데 한계가 있어 이처럼 아이돌봄 채널을 공동체 전체로 확대 시행하려는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여기에다 아이돌봄 채널을 공동체 전체로의 확대 시행을 통해 젊은이들이 자녀양육 부담으로 결혼·출산을 기피하거나 맞벌이 부부들의 경력단절 초래를 사전에 최대한 막겠다는 구상이다.
초등학생 돌봄 서비스 확대를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은 시 정책기획관를 책임자로 여성가족과, 아동보육과, 자치분권과, 교육청소년과, 도서관정책과 등이 참여하는 ‘돌봄확대T/F팀’이 맡는다.
이어 내년에는 아예 ‘아이돌봄팀’을 신설해 시 전반의 아이돌봄 체계를 구축·관리토록 할 계획이다.
백군기 시장은 “지금 젊은층의 결혼 기피나 저출산은 국가적 위기를 초래할 만큼 심각하다”며 “공동체가 함께 아이돌봄에 참여하는 시스템을 갖춰 돌봄 문제를 풀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98명으로 UN이 인구추계를 하는 201개국 가운데 최저로 나타났다.
용인=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