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급식조리원과 돌봄 전담사 등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3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갔다. 급식이 중단된 4600여개 학교에서는 대체 급식을 운영하거나 단축수업이 진행된다.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전국교육공무직본부·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전국여성노조)는 5일까지 총파업에 돌입했다고 3일 밝혔다.
학비연대 실무 교섭단은 2일 오후 7시쯤까지 교육당국과 협상안을 논의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학비연대 조합원들은 기본급 6.24% 인상, 근속급 및 복리후생비 등에서 정규직과의 차별 해소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당국은 기본급만 1.8% 올리는 안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3일간의 파업은 불가피하게 됐다. 전체 국공립 유치원, 초·중·고교, 특수학교 중 약 40%인 6000여개 학교에서 파업 참가자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집계에 따르면 전국 1만426개 학교 중 4601개교(44.1%)에서 급식이 중단된다.
교육부와 각 교육청은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인원을 활용해 급식이 정상 운영되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급식이 중단된 학교 중 3637개교는 빵과 우유 등 대체 급식을 준비하거나 학생들에게 도시락을 지참하도록 안내했다. 744개 학교는 현재 기말고사 기간으로 급식을 진행하지 않는다. 220개 학교는 급식이 필요 없도록 단축수업을 할 예정이다.
초등학교 돌봄 교실에도 비상이 걸렸다. 파업에 돌입한 돌봄 전담사들 대신 교직원들이 아이들을 돌봐줄 계획이다. 일반 학교 특수학급은 일부 과목만 특수학급으로 운영하던 시간제 특수학급을 전일제 특수학급으로 통합하는 등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학비연대는 3일 오전 10시30분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총파업 선포 집회도 연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는 오후 1시 광화문 광장에서 총파업 대회를 개최한다. 전국여성노조는 같은 시간 서울역 광장에서 총궐기 대회를 연다.
앞선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학비연대 조합원 9만5117명 중 6만5953명이 파업 찬성 표를 던졌다.
박세원 기자 on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