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톡방 기자들, 사법처리해야” 여성·언론단체 한목소리

Է:2019-05-11 00:38
ϱ
ũ

일명 ‘기자 단톡방’ 사건을 두고 여성단체와 언론인단체가 처벌 강화와 재발 방지를 촉구했다. 기자 등 언론인 200여명이 모여 있던 해당 단톡방에서는 2차 가해 뿐 아니라 불법촬영물 및 성매매 후기 공유 등도 노골적으로 이뤄졌다.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와 한국여성민우회는 9일 오후 3시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강간문화의 카르텔: 언론의 젠더감수성과 저널리즘 윤리’라는 주제로 긴급토론회를 개최했다. 김세은 강원대 교수(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김문민정 한국여성민우회 상임대표, 최이숙 동아대 교수, 고이경 DSO(디지털성범죄아웃) 활동가, 김경희 한림대 교수, 김효실 한겨레신문 기자, 안형준 방송기자연합회 회장, 오정훈 전국언론노동조합 회장, 이윤소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부소장 등이 참석했다.

발제를 맡은 최이숙 동아대 교수는 공유된 무관심으로서의 강간문화에 대해 설명했다. 강간문화란 강간과 여성에 대한 성적 공격이 용인·정당화되고 때로는 죽음처럼 인간의 삶에 있어서 불가피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문화다. 공유된 무관심은 한 사회 안에서 너무도 당연한 것이 돼 어떠한 의문도 품지 않고 문제제기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최 교수는 “견제는 미약했다. 잘못된 문화의 흐름을 바꾸기에는 여성 언론인의 수가 너무 적었고 그들이 의사결정라인에 도달하는 데도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다”며 “경쟁 과열은 조직이 성찰하고 반성하는 데 큰 장애가 됐다. 기자 개인의 문제, 기자 개인의 일탈로 간주하고 자정으로 이어지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런 비윤리적인 일이 쌓이고 쌓여 저널리즘 신뢰 위기로 이어졌다. ‘기자는 원래 그렇잖아’라는 말이 가장 아팠다”고도 했다.

‘강간문화의 카르텔: 언론의 젠더감수성과 저널리즘 윤리’ 긴급토론회 포스터. DSO 제공

고이경 DSO 활동가는 이번 사건이 사실상 예견됐던 것이라고 봤다. 2017년 있었던 기자 단톡방 사건을 언급하면서 “당시 가해 기자들이 받은 징계 수위는 미약했고 프라이버시 문제로 징계 수위를 알려줄 수 없다고 한 언론사도 있었다”며 “내부적으로 성찰하고 자정하려는 노력도, 의지도 없었던 것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DSO는 이번 기자 단톡방 사건을 최초로 공론화한 단체다. 소라넷 폐지를 성공적으로 이끈 바 있다.

고 활동가가 언급한 사건은 2017년 남성 기자 4명이 단톡방에서 동료 여성 기자들을 성희롱한 대화가 공개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미디어오늘 보도에 따르면 당시 가해 기자들이 받은 징계 수위는 감봉 2~3개월, 대기발령, 직무배제 등이었다. 한 언론사는 기자의 프라이버시 문제 때문에 밝힐 수 없다고 했다.

고 활동가는 또 “(일부) 기자들에게는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없다”고 지적했다. 업무상 취득한 개인정보를 가지고 기사화 혹은 콘텐츠로 만들어 영리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이번 사건에서처럼 유희거리로 소비할 뿐이라는 것이다. 그는 “(기자들이) 디지털사회에서 법과 유리돼있는 것은 사회적으로 큰 손실”이라며 “관련 교육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제도 및 사회적 감시가 디지털사회의 발전 속도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도 문제 삼았다. 이번 사건은 주소만 삭제하면 바로 사라져버리는 ‘오픈채팅방’이라는 익명 공간에서 벌어졌다. 없어진 공간에 대해 조사해야 하는 한계에 대한 지적이다.

이윤소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부소장은 피해 여성을 그대로 노출한 한 매체의 사례를 언급하며 조직문화가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부소장은 “성폭력 사건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모르거나, 알지만 잘하고 싶은 마음이 없거나, 마음이 있어도 (조직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게 아닐까 싶다”고 추측했다. 그러면서 “언론사 내부의 토론과 합의를 통해 성폭력 보도 기준을 세워야 한다”며 “개인을 넘어 조직문화를 점검하고 변화시켜 카르텔을 박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경희 한림대 교수는 “전문직과 비전문직을 가르는 요소 중 하나는 윤리의식”이라며 “기자는 사회적으로 필요한 직업인 만큼 심각성을 크게 느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제가 된 '기자 단톡방' 대화 일부. '버닝썬 동영상'을 공유한 정황이다. DSO 제공

안형준 방송기자연합회 회장은 “신입기자 채용 전형에 젠더감수성 관련 토론 등을 추가할 것을 건의하고, 수습기자 합숙 프로그램에 기자 단톡방 사건을 포함시켜 교육하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개인정보보호 교육, 데스크 감수성 교육 등도 진행하겠다고 약속했다.

오정훈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은 “취재 목적으로 취득한 정보를 사용한 것에 대해서는 감봉보다 더 강한 조치가 있어야 하고, 개인 관심사로 이용하려고 불법촬영물 등 공유를 요청한 것에 대해서는 사법 처리가 이뤄져야 마땅하다”며 “채팅방을 또 개설했다는 것에 대해서도 수사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어 “대다수 언론사는 남성의 비율이 아직도 압도적”이라며 “남성편향적 문화가 자리 잡고 고쳐지지 않았다는 점도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백승연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