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는 직거래나 민박 등 공유경제도 국내총생산(GDP)에 포함키로 했다고 16일 아사히신문이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일본 정부가 2020년도 반영을 목표로 공유경제 분야에서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개인간 거래를 파악해 GDP에 반영하는 기법을 연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공유경제는 개인이 소유하지 않고 필요한만큼 빌려쓰는, 협력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 방식이다. 민박 등의 대여 서비스, 직거래 장터 등이 대표적이다.
일본 내각부는 2016년 기준으로 공유경제 시장 규모를 6000억엔(약 6조 1136억원)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이 가운데 민박은 GDP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 민박이 신고제로 변경되면서 민박 매출액을 집계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GDP에 공유경제 부분을 포함시킨다고 해도 실제로는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공유경제 분야에서 개인이 아닌 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이미 GDP에 반영되고 있는데다가 여기에 개인간 거래 비용도 차감해야하기 때문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