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충북도 등에 따르면 철도시설공단이 한국과기대 등에 의뢰한 '고속철도 선로용량 확충을 위한 사전 타당성 조사'에서 세종역 신설의 비용대비 편익(B/C)는 0.59에 그쳤다.
철도건설법상 새 역을 건설하려면 B/C 1 이상을 받아야 한다. 세종역은 사업타당성이 부족하다는 결론이어서 더불어민주당 이해찬(세종) 의원과 같은 당 이춘희 세종시장의 세종역 신설 공약 이행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세종역 신설은 KTX공주역·오송역과의 거리가 각각 22㎞로 짧아 이 구간 고속철을 저속철로 만들 것이라는 비난이 잇따랐다.
도는 이날 논평을 통해 “세종역 신설은 사업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진 이상 앞으로 다시는 세종역 신설에 대한 논란이 일어나지 않길 바란다”며 “충북은 세종시가 완전한 행정수도가 되는 데 힘을 보태고, 세종시는 충북 경제발전과 함께 오송역이 세종시 관문역으로서의 역할을 다 하도록 서로 힘을 보태자”고 제안했다.
도의회도 성명에서 “세종역 신설이 사업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한 것은 지극히 당연한 결과”"라면서 “앞으로 세종역 신설 논란을 국력을 낭비하고 지역갈등을 조장하지 말라”고 지적했다.
세종역 신설 반대 운동을 주도해 온 충북범도민비상대책위원회는 “세종역 신설은 세종시 및 고속철도 건설의 목적과 계획에 정면으로 위배되기 때문에 타당성이 없다는 결론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