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황이주(울진·사진) 의원은 6일 열린 경북도의회 제228회 임시회에서 평상시에는 주민들이 여가선용을 할 수 있고, 유사시에는 주민들이 안심하고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인 ‘친환경 대피소’ 건립을 주장했다.

현재 경북도내 지진 대피장소는 모두 745개소로 수용인원은 142만1367명이지만 대피장소의 대부분은 학교운동장과 공원 등이다.
황 의원은 냉·난방 시설과 독서실, 운동기구 등을 갖추고 사생활이 보장될 수 있도록 칸막이로 가족실 등을 구비해 수용 후에도 주민들의 스트레스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친환경 대피소 건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황 의원은 “우리나라 보다 안전방지책이 훨씬 앞선 일본도 후쿠시마사태 이후 대피소 수용 스트레스로 인해 700여명의 주민들이 사망했다는 통계도 있다”며 “원전이 있는 울진을 중심으로 국내 최초로 친환경 대피소 건설을 추진해야 할 시기”라고 주장했다.
황 의원은 국비와 지난해부터 두 배로 늘어난 원전세인 지역자원시설세를 활용하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황 의원은 또 지진대비 생존 공간 만들기 사업의 필요성도 함께 제기했다.
이 사업은 지진이 발생해 가옥이 파손 됐을 때를 대비해 화장실로 대피할 수 있도록 화장실을 구조보강해 주는 사업이다.
지진 발생시 집에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장애자가 있는 경우, 외부로 긴급히 대피하지 못할 때 화장실로 대피하는 시스템이다.
이 화장실은 구조보강이 돼 있는 탓에 함몰되지 않아 안전한데다 식수까지 비치돼 있기 때문에 구조대원들이 구조해 도착할 때까지 약 3주 정도 버틸 수 있다는 것이다.
2012년 일본 후쿠시마 사태 이후 시작한 이 사업은 그 동안 울진 등 동해안 4개 지자체에서 시행했고 지금까지 440동을 지원했다.
황 의원은 이와 관련한 전문인력 채용도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 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선 원자력을 잘 아는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년간 원자력 업무에 종사를 해 현장을 알고 또 그런 경험을 바탕으로 정부정책에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인재를 채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의원은 “이론 중심의 대학교수가 아닌 원전건설소장, 발전소장, 본부장 등 현장 관리자 중심으로 자문단을 구성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