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부동층 25% 갈곳이 없다...깜깜이 선거 우려

Է:2016-04-03 16:20
ϱ
ũ
[기획]부동층 25% 갈곳이 없다...깜깜이 선거 우려
4·13총선을 10일 앞두고도 “찍을 정당이나 후보가 없다”는 부동층은 줄지 않고 있다. 선거구 획정 지연에다 여야의 공천 과정마저 마찰을 빚은 탓에 초유의 ‘무관심 선거’가 치러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19대 국회 전반에 대한 ‘정치 혐오’ 지수가 높은 데다 ‘대형 이슈’마저 사라져 막판까지 예측불허의 대혼전이 전개될 전망이다.

이른바 ‘선거임박 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선거일에 가까워질수록 지지층 결집과 동시에 부동층 비율이 급격하게 감소했던 과거 패턴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3월 29~31일 조사해 1일 발표한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 응답률 19%)에 따르면 지지 정당이 없거나 의견을 유보한 부동층은 25%였다. 여야가 공천 준비를 서두르던 지난달 초 26%였던 부동층 비율이 선거운동이 본격화된 시점까지 그대로 유지된 셈이다.

정당 지지율을 보면 이 같은 기류가 더욱 확연해진다. 새누리당의 경우 올해 초만 해도 40% 안팎의 정당 지지율을 보였으나 최근 37%까지 떨어졌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20%대 초반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국민의당만 지난달 말 4% 포인트 상승해 창당 초기 지지율을 회복한 정도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은 3일 “선거일이 임박했는데 부동층이나 무응답층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동시에 정당 지지율이 올라가지 않는 것은 흔치 않은 현상”이라고 말했다.

복지 논쟁이나 대규모 개발 공약 등 파괴력 있는 이슈가 사라진 가운데 흥행 요소를 갖춘 정치 신인이 없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새누리당과 더민주가 각각 경제 위기를 놓고 서로 심판론을 부각시키고 나섰지만 현재까지 ‘표 쏠림’ 현상은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양대 정당의 공천 내홍만 부각돼 보수와 진보 진영의 결집률은 각각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선거구 122곳(48.2%)을 차지하는 최대 격전지인 수도권에서 여당이 야권 분열 구도로 인한 반사 이익을 챙기지 못하고 있다. 새누리당이 수도권에서 우세하다고 판단한 지역은 20여곳에 그칠 뿐이다. 새누리당 수도권 의원들 사이에선 “공천 내홍으로 인한 대구·경북발(發) 악재가 북상하고 있다”는 위기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미래 권력 투쟁’의 전초전이라는 구도 역시 주목받지 못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더민주 문재인 전 대표,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 등 차기 대권 잠룡들 자신의 지지율이 각 정당 지지율을 크게 앞서 있지 못한 측면이 크다.

막판 변수로는 야권 후보 단일화와 새누리당의 지지율 회복 등이 꼽힌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공천 문제로 보수 성향 지지층이 과거만큼 결집하지 못하고 있다”며 “야당 지지자들의 경우 야권 분열로 인해 자신의 지지 후보가 당선될 가능성도 떨어지면서 투표 적극성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