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복 전 국정원장의 부적절한 언행(言行)은 늘 논란을 몰고 다녔다. 국정원장 재임시절엔 아프가니스탄 무장단체의 한국인 피랍사건 해결 주역인 국정원 직원, 일명 ‘선글라스 맨’을 노출시키는가 하면 자신의 공적을 내세운 보도자료까지 내 빈축을 샀다. 2007년 대선 전날 방북해 김양건 북한 통일전선부장을 만나 “이명박 후보 당선이 확실시된다”는 발언을 하고, 이를 대화록으로 만들어 언론에 유출해 거센 비난을 받았다. 19대 총선을 몇 개월 앞둔 2011년엔 한 일본 잡지에 2차 남북 정상회담 당시 협상 내용을 기고해 직무상 기밀누설 혐의로 검찰조사를 받기도 했다.
그랬던 그가 또다시 ‘가벼운 입’을 놀렸다.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2007년 10월 2차 남북 정상회담 추진 과정에선 ‘백채널’(비밀창구)을 활용할 필요가 없었다”며 “이미 노무현 당시 대통령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에 상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핫라인이 뚫려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논란이 일자 그는 “남북 정상 간 핫라인이 있었지만, 노 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직접 통화한 적은 한차례도 없었다”고 말을 바꿨다.
국정원은 김 전 원장을 국가정보원직원법 위반 혐의로 형사 고발키로 했다. 비슷한 전력으로 이미 두 차례나 검찰에 불려갔던 김 전 원장이 세 번째로 수사를 받게 된 셈이다. 국정원직원법 제17조 1항은 ‘직원은 재직 중은 물론 퇴직한 후에도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누설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 직원이 국정원 직무와 관련된 사항을 발간하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공표하려면 미리 국정원장의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한때 김 전 원장은 제2차 남북 정상회담을 성사시킨 주역으로 각광을 받았다. 하지만 국가 최고 정보기관의 수장이었다는 사실이 믿기 힘든 언행을 반복하며 스스로 제 발등을 찍었다. 이번 논란으로 ‘김 전 원장의 과시병은 선거철만 돌아오면 도진다’는 기밀도 완전히 해제됐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현장기자] 선거때만 되면 과시병 도지는 김만복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