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 접경지역 대규모 휴대전화 불통사태 왜?” 北, 탈북자 차단 위해 방해 전파 강도 높여

Է:2015-09-22 17:02
ϱ
ũ
“북중 접경지역 대규모 휴대전화 불통사태 왜?” 北, 탈북자 차단 위해 방해 전파 강도 높여
북한이 탈북자 차단 및 외부정보 유입 방지를 위해 최근들어 북·중 접경지역 등에서 휴대전화 신호 차단을 한층 강화한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북·중 접경지역 소식통들에 따르면 북한은 1300여㎞에 달하는 북·중 국경의 상당수 지역에서 휴대전화 신호를 추적해 중국 이동통신업체 유심(USIM)을 사용하는 휴대전화 신호를 강력 차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집권 이후 압록강이나 두만강을 건너 탈출하려는 주민과 브로커 등의 접선을 끊기 위해 국경지역에서 휴대전화 차단을 실시했으며 지난 여름부터 차단 대상지역을 넓히고 전파방해 강도를 높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조치는 조선족 집거지인 연변조선족자치주와 맞닿은 함경북도 회령·무산, 창바이 조선족자치현 인근인 양강도 혜산, 지린 성 지안과 가까운 자강도 만포 등 탈북활동이 잦은 지역에서 이뤄졌다.

소식통들은 "김정은 위원장 집권 이후 전파 방해가 계속 있었으나 요즘은 당·정·군 간부들의 탈북과 망명이 잇따르는 등 내부 동요에 따라 체제강화를 위해 더욱 강화된 느낌"이라고 전했다.

전파 차단이 강화됨에 따라 중국 일부지역에서는 휴대전화 불통현상마저 벌어졌다.

한 소식통은 "혜산시와 압록강 사이로 접경한 창바이자치 현에서는 2~3개월 전부터 수십 차례 전화를 걸어야 간신히 연결되는 등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창바이 현 시내의 이동통신업체 대표단이 국경을 넘어 혜산시를 찾아가 전파 방해를 중단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북한 당국은 또한 중국산 휴대전화로 중국에 국제통화하는 주민을 단속하기 위해 외국산 전파탐지기를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안전보위부 등에서 차출된 단속요원이 중국 접경지역을 수시로 다니면서 전파탐지기를 가동해 국제통화를 탐지한다는 것이다.

종전에 단속요원이 사용한 탐지기는 부피가 커서 가방에 넣고 단속활동을 펼쳤으나 최근 독일에서 들여온 제품은 호주머니에 넣을 정도로 부피가 작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