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농어촌 버리겠다는 거냐?” 與 “전략공천 통한 친노 당권장악 시도”

Է:2015-09-22 16:42
ϱ
ũ
“문재인, 농어촌 버리겠다는 거냐?” 與 “전략공천 통한 친노 당권장악 시도”
새누리당은 내년 4월 20대 총선에서 농어촌 지역구 감소를 막으려면 비례대표 의원 정수를 줄여야 한다며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를 압박하고 나섰다.

현재 246개인 지역구를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마련 중인 획정안에 따라 244∼249개로 조정할 경우 도시지역 인구 증가와 지역구별 인구편차 2대 1 이내 조정이라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감안하면 농어촌 지역구의 대폭 감축이 불가피하다.

새누리당은 여야가 의원 정수를 300명으로 유지하기로 한 만큼 비례대표 의원 감축에서 길을 찾고 있지만, 문 대표는 비례대표 감축에 반대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새누리당은 22일 문 대표의 의도는 "농어촌을 버리겠다는 뜻"이자 "전략공천을 통한 친노(친노무현)계의 당권 장악" 시도라는 프레임으로 문 대표를 몰아세웠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이날 국정감사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농촌의 대표성을 소중히 여겨 비례대표를 줄이는 방향으로 하는 게 헌재 결정에 부합하는 태도"라고 말했다.

지역구 인구 편차를 3대 1에서 2대 1로 줄이라는 헌재 결정에 맞추기 위해 농어촌 지역구를 통폐합하는 '뺄셈의 획정'이 아니라 지역구를 늘려 편차를 줄이는 '덧셈의 획정'으로 발상을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원 원내대표는 최대 6개 시·군이 한 지역구로 묶이는 기형적 구조를 벗어나고자 경기·제주도를 제외한 각 도(道)의 농어촌 지역구 한두 곳은 예외로 두는 '특별 선거구'에 대해서도 "검토해볼 만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정훈 정책위의장도 이날 국감대책회의에서 지난 19일 발표된 선거구 획정안으로는 본회의 통과가 사실상 불가능하고, 그럴 경우 내년 총선 일정마저 영향을 받는 최악의 상황으로 흘러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야당이 비례대표를 줄이지 못하는 건 자신들에게 유리한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대한 미련과, 다음 대선 때 (정의당 등) 다른 야당의 협조를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여당 간사인 이학재 의원은 "문 대표는 농어촌 지역구를 버릴 건지, 지킬 건지 분명하게 밝혀 이런 혼란을 없앨 것을 정중히 요청한다"며 문 대표의 결단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특히 야당 내부에서 비례대표 감축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음을 거론, "다수의 야당 농어촌 의원도 획정위의 획정 기준에 크게 반발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당 일각에서는 '비례대표 폐지론'까지 제기되는 가운데 현행 비례대표 54석 가운데 13석을 줄이면 농어촌 지역구를 줄이지 않아도 된다는 주장도 거론됐다.

이는 선거구 획정으로 피해를 보는 호남 지역 야당 의원들의 반발 심리를 자극해 '전략적 연대'를 형성해 농어촌 지역구를 지켜내겠다는 포석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한 핵심 당직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비례대표는 결국 당 대표의 전리품이고, 문 대표가 비례대표에 집착하는 속셈은 친노 주류가 잡은 당권을 놓지 않으려는 것라는 해석에 적지 않은 호남 의원이 동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농어촌·지방주권 지키기 의원 모임'의 간사인 황영철 의원은 이 모임에 참여한 이윤석·황주홍·유성엽 등 새정치연합 비주류 의원들과 뜻을 모아 단식 투쟁 등으로 지역구 축소를 저지하겠다고 공언했다.

농어촌 지역구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현재 독립 선거구인 일부 도시 지역선거구의 조정 가능성이 거론되자 이번엔 도시 지역 의원들이 반발하는 기류도 있다.

안산 단원갑이 지역구인 새누리당 김명연 의원은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안산을 (지역구 축소의) 완충 역할을 위한 희생지역으로 삼아선 안 된다"며 "실제 거주하는 외국인 노동자 등 다문화 가정이 인구 통계에서 제외된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