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8~10일 3일간 전국 성인 1011명에게 박근혜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잘못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질문한 결과, 50%는 긍정 평가했고 42%는 부정 평가했으며 8%는 의견을 유보했다(어느 쪽도 아님 4%, 모름/응답거절 4%).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지난 주 대비 4%포인트 하락, 부정률은 4%포인트 상승해 긍정-부정률 격차가 16%포인트에서 8%포인트로 줄었다. 각 세대별 긍정/부정률은 20대 29%/59%, 30대 19%/74%, 40대 38%/52%, 50대 69%/24%, 60세+ 88%/7%로, 40대에서 다시 부정률이 50%를 넘었다. 40대는 지난주 56%의 지지율을 기록한 바 있다.
8.25 합의 후 긍정률이 크게 상승했던 40대는 지난 주 세월호 참사 이후 처음으로 긍정률이 부정률을 앞섰지만, 한 주 만에 재역전됐다. 월별 통합 기준 40대의 직무 긍정/부정률은 6월 23%/66%, 7월 25%/67%, 8월 30%/60%였다.
주요 지지정당별로 보면 새누리당 지지층(425명)은 83%가 '잘하고 있다'고 답했고,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224명)은 72%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한편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309명)에서는 지난 주 긍정률(39%)과 부정률(43%)이 비슷했으나, 이번 주 들어 다시 긍정률(34%)보다 부정률(52%)이 높아졌다. 월별 통합 기준 무당층의 직무 긍정/부정률은 6월 17%/67%, 7월 16%/69%, 8월 20%/64%였다.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506명)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자유응답) '외교/국제 관계'(27%)(+10%포인트), '대북/안보 정책'(25%)(-11%포인트), '주관, 소신/여론에 끌려가지 않음'(9%), '열심히 한다/노력한다'(8%)(-3%포인트) 등으로 나타났다.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425명)는 부정 평가 이유로(자유응답) '소통 미흡'(16%)(-3%포인트), '경제 정책'(16%), '국정 운영이 원활하지 않다'(9%), '복지/서민 위한 정책 미흡'(8%), '안전 대책 미흡'(7%), '리더십 부족/책임 회피'(6%) 등을 지적했다.
이번 주 대통령 직무 긍정 평가자의 절반 가량이 그 이유로 '외교'와 '대북'을 꼽았다. 지난 주와 비교하면 '대북' 비중이 줄고 이를 '외교'가 대체한 양상이다. 과거 여러 차례 그랬듯 추가적인 성과가 부각되지 않는다면 그 영향력은 점차 소멸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다. 응답률은 20%(총 통화 5,024명 중 1,011명 응답 완료).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40대, 朴대통령 지지율 쑥 빠졌다” 56%->38%로 급락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