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인 출신 작가 고종석씨는 19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창비 측의 뻔뻔한 ’입장’이라는 게 없었다면, 나는 이 사태에 개입하지 않았을 것이다”라며 “이미 충분한 말의 돌멩이를 맞고 있는 작가에게 돌 하나 더 던지는 게 무슨 의미인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게다가 조선일보 문제에서 비롯된 작가와 나의 불화 탓에, 나는 외려 힘든 처지에”라고 덧붙였다.
고씨는 “황현산 선생님은 김지하의 ’타는 목마름으로’에서 엘뤼아르의 ’자유’를 떠올렸지만, 나는 김남주의 ’조국은 하나다’에서 엘뤼아르의 같은 시를 떠올렸다”라며 “양김씨의 그 시들이 엘뤼아르의 ’자유’의 말투를 취하곤 있으나, 그걸 표절이라고까지 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했다.
고씨는 “사실 김남주의 ’학살’에서도 엘뤼아르의 ’통금’의 말투가 읽힌다. 그런데 이 정도는 표절이라기보다 영향이라고 보는 게 좋을 듯하다”라며 “표절의 잣대를 너무 엄격하게 잡는 것은 너무 헐렁하게 잡는 것과 똑같은 효과를 낳는다”고 했다. 한마디로 “잣대가 무용해진다는 것”라고도 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고종석 “표절 잣대 엄격하면 너무 헐렁한 것과 같다”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