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총리 안대희 내정] 안대희 임명동의안 5월 28일께 제출
안대희 국무총리 내정자는 앞으로 국회의 인사청문회 절차를 남겨놓고 있다. 정부는 안 총리 내정자에 대한 임명동의안을 28일쯤 제출할 예정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22일 밝혔다.
총리에 임명되기 위해선 정부의 임명동의안 제출, 국회 특위 구성, 각종 자료 요구 등 인사청문회 절차를 밟아야 한다. 여러 일정을 감안하면 안 내정자에 대한 청문회는 6·4지방선거 이후에 열릴 것으로 보인다. 지방선거에 미칠 영향을 감안해 정부와 여당이 인사청문회를 일부러 서두를 가능성은 높지 않기 때문이다. 인사청문회법은 ‘국회는 임명동의안이 제출된 날부터 20일 이내에 심사 또는 인사청문을 마쳐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경우 상당기간 정홍원 총리와 후임 총리로 발표된 안 내정자가 동거하는 사실상의 ‘양(兩) 총리’ 체제가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사실상 앞으로의 공직개혁 전면에 나서게 될 총리 내정자인 만큼 실제 총리에 임명되기 전에도 안 내정자 발언은 내각과 정치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정 총리의 역할은 남아있는 세월호 실종자 수색 등에 국한될 것으로 보인다.
안 총리 내정자의 인사청문회는 이번이 두 번째다. 그는 참여정부 시절인 2003년 6월 대법관으로 발탁돼 청문회를 무난하게 통과했다. 당시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 의원들의 전폭적인 지지로 대법관 임명동의안은 국회 본회의에서 찬성률 78.7%로 통과됐다.
이제 남아있는 내각과 청와대 참모진의 인적 쇄신 폭과 시기도 관심이다. 안 내정자의 총리 공식 임명이 지방선거 이후로 넘어가면 개각 역시 그만큼 늦춰질 전망이다. 개각 폭은 안전행정부, 해양수산부, 교육부 외에 일부 경제부처가 유력하다. 하지만 지방선거에서 여당이 참패할 경우 개각 폭은 훨씬 더 커질 수도 있다.
청와대 비서진 교체는 시기와 규모 모두 다소 유동적이다.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이 교체된 만큼 청와대의 인적 쇄신은 속도 조절에 들어갈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개각 폭이 커질 경우 박 대통령이 오히려 현 청와대 비서진 교체는 최소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