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적으로 규정된 개념 ‘주부’

Է:2013-07-25 18:01
ϱ
ũ
사회·문화적으로 규정된 개념 ‘주부’

주부의 탄생/기무라 료코(소명출판·2만9000원)

‘남자는 일, 여성은 가정’이라는 젠더질서는 근대화 이후 전략적으로 형성됐다. 현모양처라는 여성성의 대명사 또한 이때 완성됐다. 일부 여성은 젠더질서가 여성에게 불리하다며 반대했지만 대다수의 여성은 질서 유지에 기여했다. 국가의 강제적 측면과 여성의 자발적 측면이 더해져 젠더질서는 존재하게 됐다.

저자는 1920∼1930년대 부인 잡지에 그려진 근대적 여성상을 분석하면서 여성독자가 미디어를 만나 어떻게 ‘주부’를 꿈꾸게 되는지 밝힌다. 그는 잡지 속 실용 기사, 업적을 중시하는 근대 여성의 모습을 통해 여성이 미디어를 통해 ‘유익’과 ‘수양’을 얻었다고 말한다. 또 당시 여성들이 연애, 섹슈얼리티, 결혼 등을 소재로 한 대중 소설을 읽으며 ‘위안’을 받았다고 설명한다.

주부는 남편·자식과 관계를 맺으며 ‘근대가족’의 일원이 된다. 저자는 이를 통해 달콤한 생활을 하고, 사랑을 받는 주부의 이미지를 인식하게 된다는 점도 지적한다. 즉 미디어가 이데올로기 장치로서의 역할을 해냈다는 것이다.

일본 오사카대학 인문과학 연구과 교수인 기무라 료코가 ‘주부’의 역사적 기원을 설명하면서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주부’가 사회·문화적으로 규정된 것임을 밝힌다. 이은주 옮김.

김미나 기자 mina@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