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참사 문책없이 검증인력 늘릴 듯
잇따른 고위 공직자의 낙마로 곤욕을 치른 청와대가 뒤늦게 인사검증시스템 보완에 나섰다. 청와대의 허술한 검증과 안이한 상황인식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임기 초 지지율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국정혼란을 자초했다는 비판이 쏟아진 상황이다. 그러나 책임을 지는 사람은 없을 예정이다. 인사 실패의 근본원인으로 지목됐던 ‘밀실인사’에 대한 개선책도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31일 인사위원회 소속 인사팀장을 맡고 있는 김동극 선임행정관의 직급을 비서관으로 높이고 인사팀원 및 민정수석실 산하 검증팀원 숫자를 늘리는 방안을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앞으로 인사 대상자의 평판이나 소문 등 ‘검증 사각지대’로 여겨진 분야의 검증을 강화할 계획이다. 허태열 비서실장은 수석비서관들을 불러 비공식 간담회를 갖고 인사시스템 보완책을 논의했다.
곽상도 민정수석을 비롯한 인사 담당자들은 그간 인력부족을 호소했다. 하지만 ‘작은 청와대’를 지향하는 유민봉 국정기획수석 등은 난색을 표했다고 한다.
청와대는 인사 실패에 대해 사과할 계획이 없다던 입장을 바꿔 전날 비서실장 명의로 사과문을 전격 발표했다. 허 실장은 “새 정부 인사와 관련하여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친 점에 대해서 인사위원장으로서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앞으로 인사 검증 체계를 강화하여서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청와대의 사과를 두고 진정성 논란이 일고 있다. 단 두 문장, 17초 분량에 불과했고 그것도 김행 대변인이 대신 읽었다. 청와대는 지난 29일 사과하기로 결정했지만 하루 뒤 언론의 관심도가 떨어지는 토요일에 발표했다. 인사 문제로 ‘단단히 쓴소리를 하겠다’고 벼르던 새누리당과의 고위 당·정·청 워크숍 직전이었다.
또 청와대는 구체적인 개선책에 대한 언급은 전혀 하지 않고 “운영의 묘에 만전을 기하겠다”고만 했다. 개선책 소개를 요구하는 취재진을 향해 이남기 홍보수석은 “개선은 다 됐다. 어느 정도 정리가 됐더라”며 이날 대변인의 추가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청와대는 아무런 설명을 내놓지 않았고 한 고위 관계자는 “그게 하루아침에 되는 게 아니다”라고 일축하는 촌극까지 벌어졌다.
당장 민주통합당은 박 대통령의 직접 사과와 인사라인 교체를 거듭 촉구했다. 김현 대변인은 “대변인이 비서실장의 사과문을 대독한 것은 또 다른 오기”라며 “진심 없는 대독사과로 끝낼 일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트위터 글을 통해 “국민을 졸(卒)로 보는 나쁜 사과”라고 비판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