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정부 현실화] “與입지 축소” “지켜보자”… 대통령 담화 득실 논란
여권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전날 발표한 대국민담화의 정치적 이해득실 논란이 일고 있다. 새누리당 안팎에선 ‘대통령이 나서서 여당의 입지가 좁아졌다’는 우려와 ‘여론의 추이를 지켜보자’는 유보적인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박 대통령의 대선공약 개발에 참여했던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은 5일 라디오에 출연해 담화 발표가 여야의 정부조직개편안 협상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박 대통령의) 답답함이 토로됐다. 이해한다”면서도 “(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면 보좌하시는 분들이 타협을 하거나 좀 더 좋은 아이디어를 낼 룸(공간)이 전혀 없어진다”고 지적했다. 창조경제 실현수단인 미래창조과학부 신설이 지연된 데 대한 심정은 이해하지만, 대통령의 공세적인 담화 내용 때문에 협상 타결의 여지가 오히려 좁아졌다는 것이다.
당내 비주류 진영의 불만은 보다 노골적이다. 김용태 의원은 라디오에서 “(담화의) 시기와 방식에 대해 유감을 표명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면서 “중요한 협상 파트너인 야당을 향해서 너무나 급박하게 밀어붙이는 모습이 적절했느냐”고 되물었다. 박 대통령의 ‘담화 강수(强手)’가 협상을 더욱 꼬이게 만들었다는 얘기다.
중도 사퇴한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협상에 참여했던 당 관계자는 김 후보자의 사퇴 기자회견을 거론하며 “조용히 물러가면 동정 여론이라도 생길 텐데 공연히 정치인처럼 야당을 공격해 협상을 불리하게 만들어 놨다”고 꼬집었다.
하지만 친박(親朴·친박근혜계) 의원들 사이에선 여전히 박 대통령의 의중을 헤아려야 한다는 기류가 더 강하다. 대국민 담화도 손익을 계산하기보다 시간을 두고 효과를 지켜보자는 쪽이다. 친박계 중진 의원은 “대통령의 담화를 통해 정부조직 개편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재확인했다는 생각과 함께 야당을 너무 밀어붙이는 것 아닌가 하는 걱정도 들었다”면서 “둘 중 무엇이 맞아 들어갈지 좀 더 지켜보자”고 말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2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