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14] TV토론 권력형 비리 공방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는 4일 열린 대선후보 첫 TV토론에서 야권 연대 및 권력형 비리 근절 방안을 놓고 충돌했다. 문 후보는 통합진보당 이정희 후보와 함께 권력 비리 문제를 고리로 박 후보를 협공했지만 야권연대 대목에선 이 후보와 분명히 선을 그었다.
문 후보는 새누리당을 비리의 온상으로 규정한 뒤 “박 후보 측근들 사이에서도 벌써 비리가 시작되고 있다”고 포문을 열었다. 그는 “최측근인 홍사덕 전 의원부터 친박(친박근혜) 돈 공천 문제까지 불거졌다”고 비판했다. 이 후보도 “비리백화점에다 툭하면 색깔론을 제기하는 구시대 정치를 새누리당이 만들었다”면서 “박 후보의 새누리당이 정치혁신을 말할 자격이 있느냐. 한국정치 쇄신의 핵심은 새누리당을 없애는 것”이라고 격한 말을 동원했다.
이에 박 후보는 “권력형 비리 문제가 나오면 문 후보께서 많이 곤혹스러울 것 같다”면서 문 후보의 부산저축은행 압력 의혹, 아들 취업 특혜 및 다운계약서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권력형 비리, 정말 막을 수 있겠나”라고 되물었다. 그러자 문 후보는 “모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고 반박한 뒤 “박 후보까지 네거티브를 하는 게 참 안타깝다. 네거티브를 중단해 달라”고 말했다.
권력형 비리 척결 방법을 놓고도 신경전이 벌어졌다. 문 후보는 고위공직자 비리수사처(공수처) 신설을, 박 후보는 특별감찰관제와 상설특검제 도입을 강조했다. 문 후보는 “박 후보가 공수처보다 상설특검과 특별감찰관제가 낫다고 했지만 상설특검은 기구가 없고 국회가 요구해야 특검을 할 수 있다. 저희 주장이 더 효과적인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이 후보에게 물었다. 이 후보는 “18대 국회에서 공수처 신설 법안을 제가 대표 발의했다. 같은 의견”이라고 선뜻 동의했다.
그러면서도 이 후보는 “참여정부는 집권 초기부터 ‘삼성 장학생’이 장악했다는 말이 있다”며 “집권하면 고위직 관료 임명할 때 삼성 장학생 여부 검증하겠다는 약속을 해 달라”고 문 후보를 압박했다. 문 후보는 “삼성 장학생이 참여정부 장악했다는 건 사실이 아니다”라며 “국정운영 메커니즘을 참여정부 끝날 때쯤에야 알게 됐다. 재벌개혁이 부족했던 부분을 경험했기 때문에 이제는 제대로 할 수 있다”고 답했다.
박 후보는 지난 4월 총선 당시 통합진보당의 전신인 민주노동당과 민주당 사이에서 이뤄진 야권 연대를 문제 삼았다. 그는 “지난 4월 민노당과 합의해 국회의원을 만들었는데 (연대가) 깨졌지만 누구도 책임지지 않고 있다”며 “민주당이 추구하는 방향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이에 문 후보는 “야권 연대는 가치가 같다고 판단되고 국민 뜻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며 “지난 총선 때는 새누리당의 과반 의석을 막기 위해 야권 전체가 단일화하라는 것이 국민의 뜻이었다”고 말했다. 또 “통합진보당이 혁신을 계속해서 국민의 신뢰를 받는다면 연대하지 못할 이유가 없는데 지금은 그런 조건이 갖춰지지 않고 있다”고 했다.
김나래 유동근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