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말문 튼 단일화… 시기·방법은 여전히 오리무중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가 다음달 10일 정책집 발표 이후 단일화 논의에 참여할 수 있다는 의사를 내비치면서 후보 단일화 논의가 사실상 본궤도에 올랐다. 그러나 “다음달 25일 이전에 마무리짓자”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아직 준비가 덜 됐다”는 안 후보의 입장이 맞서 있어 단일화 시기와 방법은 여전히 미지수다. 물꼬는 트였지만 봇물은 터지지 않은 셈이다.
◇단일화 ‘경우의 수’는 6+α=50일 남은 대선 일정과 양측 입장을 감안하면 예상 가능한 단일화 시점은 두 개, 단일화 방식은 여론조사·TV토론 후 패널조사·현장투표 등 크게 세 가지다. 야권 단일화 로드맵의 최소 ‘경우의 수’가 6개라는 것이다. 안 후보 측이 제3의 방식을 제시하면 더욱 복잡해진다.
1차 단일화 가능 시점은 다음달 10일부터 후보 등록일인 25일까지다. 문 후보 측이 가장 원하고 있다. 문 후보 측은 다음주부터 논의를 시작하자는 주장이다. 우상호 공보단장은 30일 기자간담회에서 “이미 2002년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시점보다 보름 정도 늦어졌다”며 “새 정권 창출을 위해 단일화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안 후보의 발언이 말 그대로 다음달 10일까지 정책을 만드는 데 집중하겠다는 의미에 불과하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안 후보가 25일 전에 꼭 단일화해야 한다고 말한 적은 없기 때문이다. 거듭된 단일화 공세를 차단하고, 12월까지 시간을 번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유민영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후보 말을 그대로 이해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안 후보가 정치쇄신 화두로 주도권을 행사하면서 12월 19일 대통령 선거일 부근까지 단일화 시점을 최대한 늦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미 검증된 단일화 방식은 여론조사, TV토론 후 패널조사, 현장 투표 등 세 가지다. 2002년 단일화 때 100% 여론조사를 해 봤고, 지난해 서울시장 보궐선거 후보 단일화 때 나머지 방식을 결합해 봤다. 논의가 시작되면 문 후보 측은 여론조사에 모바일 및 현장 투표를 반영하는 방안을, 안 후보 측은 단일 여론조사를 주장할 것으로 보인다. 경선 기간이 일주일 내로 짧아지면 100% 여론조사, 열흘 이상 길어지면 다른 방식이 결합될 가능성이 높다.
◇보조는 맞추고, 견제구는 수시로=안 후보의 단일화 논의 참여 의사 피력을 계기로 양측은 가치 혹은 정책 연대를 형성하는 데 더욱 신경 쓸 것으로 보인다. 비례대표제 확대나 국회의원 감축 등을 놓고 양측이 의견차를 좁히는 모양새이고, 투표시간 연장을 연결고리로 공동 캠페인을 펼칠 수도 있다. 양측의 심판 역할을 할 수 있는 재야나 시민사회계의 역할도 커질 전망이다.
그러나 문 후보 측 시민캠프의 김민영 공동선대위원장은 오찬 기자간담회에서 “무소속 대통령은 정책을 추진하려 해도 국회 과반 의석을 가진 새누리당에 끌려갈 수밖에 없다”며 “새누리당 대통령과 다를 것이 없다”고 안 후보를 정면으로 비판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