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책임 회피하려다 궁지 몰린 日
1993년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을 인정한 ‘고노담화’ 수정 움직임까지 보이며 책임을 회피하려던 일본이 궁지로 몰리고 있다. 국제사회와 각종 인권단체, 언론의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31일 ‘일본의 역사왜곡은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는 제목의 평론을 통해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를 비롯한 일본 각료들의 위안부 부인 발언은 인류의 기본 양심을 저버리는 것으로 피해를 본 국민들의 분노와 실망을 불러오고 있다”고 밝혔다. 홍콩 언론 역시 “일본이 국제사회의 이목까지 신경쓰지 않고 있다”고 가세했다.
일본 아사히신문도 이례적으로 사설에서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동원을 부인하는 정치인들을 비판했다. 이 신문은 “(당시) 많은 여성이 심신의 자유를 침해당하고 명예와 존엄성이 짓밟혔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며 “노다 총리도 오해를 부를 발언을 피하고, 고노담화의 계승을 다시 내외에 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위안부 피해국인 네덜란드 등 각국 정부도 강제동원 증거를 속속 제기하고 있으며 유엔과 국제 인권단체들도 일본을 규탄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일본이 독도 영유권 주장으로 야기된 국내 우경화 경향에 편승해 위안부 문제까지 강경 대응한 것 자체가 외교적 자충수라는 시각도 있다. 청와대 핵심 참모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일본의 반인륜적 행태를 고발하려던 이명박 대통령의 대일 전략이 국제사회에 어필(호소)하고 있다”면서 “세계 각국이 독도에 대해선 중립적일지 모르지만 위안부 문제는 앞으로 일본 입지가 계속 좁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4일간 접수를 거부해온 노다 총리 서한을 중국을 방문한 야마구치 쓰요시 외무성 차관을 통해 전달받았다. 서한은 애초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문제에서 냉정한 대응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았으나 접수가 지체되는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수정됐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도쿄도는 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센카쿠 매입을 위한 조사단 파견을 강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서울과 도쿄에서는 이례적으로 한·일 간 고위급 외교 접촉이 잇따라 있었다. 신각수 주일 한국대사가 31일 도쿄에서 사사에 겐이치로(佐佐江賢一郞)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회동한 데 이어 외교부 안호영 1차관도 이날 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 주한 일본대사를 비공개리에 만나 현안을 협의했다고 복수의 외교 소식통이 전했다. 지지통신은 일본이 한국의 거부에도 독도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ICJ)에 단독 제소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는 것을 통보했다고 전했다.
신창호 김지방 기자 proco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