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경선 파행] 1∼3번 찍은뒤 끝까지 안듣고 끊으면 ‘무효’
민주통합당 대선 경선에서 일반 국민을 참여시키기 위해 도입한 모바일 투표가 허점을 드러내며 경선 파행이라는 심각한 사태를 불러왔다.
논란은 ARS(자동응답시스템) 방식의 모바일 투표에서 후보 안내 메시지를 끝까지 듣지 않고 투표한 뒤 전화를 끊으면 이를 투표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한 대목이다.
후보별 기호 추첨에 따라 이번 모바일 투표는 1번 정세균 상임고문, 2번 김두관 전 경남지사, 3번 손학규 상임고문, 4번 문재인 상임고문 순서대로 안내됐다.
정·김·손 세 주자는 자신을 지지한 유권자들이 1∼3번을 누르고 나서 전화를 끊을 경우 이들의 표가 기권표로 처리됐을 것으로 보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그 근거로 낮은 투표율을 들고 있다. 첫 경선지인 제주 경선에서 모바일 투표 방식으로 투표에 참가한 인원은 3만2984명인데, 이들 중 1만9345명이 경선에 참여해 투표율이 58.6%에 그쳤다. 이는 올해 치러졌던 1·15 전당대회(80.0%), 6·9 전당대회(73.4%) 때 모바일 투표율보다 14.8∼21.4% 포인트 낮은 수치다. 세 주자들은 이번에는 관심도가 훨씬 더 높은 대선 경선이라 이전보다 투표율이 더 높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 경선 선관위 김승남 간사는 26일 “6·9 전당대회 모바일 투표 때도 중간에 전화를 끊으면 투표하지 않은 것으로 처리했고, 지난 13일에는 각 캠프 참관인을 불러 시연까지 했는데 왜 이제 와서 문제제기를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에 손 고문 측 김유정 대변인은 “6·9 전당대회 때는 1인2표제로 이번 상황과는 다르다”며 “또 13일 시연 후 문제제기를 수차례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권리당원 투표(지난 15∼16일 실시)는 아무런 안내 메시지 없이 투표가 진행됐고, 그나마 제주 모바일 투표에서 ‘끝까지 듣고 투표해 달라’는 메시지가 들어간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전 지사와 정 고문 캠프 측도 “당이 모바일 투표 설계 과정에서 후보들과 의견 조율 없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인 결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모바일 투표에 대한 문제제기는 처음이 아니다. 6·9 전당대회에서도 모바일 투표 동원선거 논란이 일었다. 당시 당 대표 경선 대의원선거에서 김한길 후보가 이해찬 후보를 대부분의 지역 경선에서 앞섰으나 막판 모바일 투표에서 패배해 전세가 역전되면서 모바일 투표 유효성에 대한 시비가 나왔다. 이후 당은 인증제도를 강화하는 쪽으로 일단락했으나 치밀하지 못한 일 처리로 모바일 투표가 또다시 시험대에 올랐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