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기증 점검] 기증자 가족 박수받는 분위기 조성해야

Է:2011-10-02 21:17
ϱ
ũ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윤석용 의원은 최근 열린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생체 장기기증 희망자는 2009년 김수환 추기경 사후 각막 기증 영향으로 18만5045명을 기록했다가 지난해 12만4377명, 올해 6월 현재 5만4396명으로 급감했다”면서 정부의 지속적인 장기기증 활성화 대책을 촉구했다. 그나마 지난 6월 뇌사 추정자 신고 의무화법 시행 이후 뇌사자 장기기증이 조금씩 늘고 있는 것은 긍정적 신호로 평가되지만 정부의 장기기증 문화 확산 노력은 여전히 미흡하다는 것이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해 여전한 부정적 인식을 바꾸려면 꾸준한 대국민 홍보·교육 활동이 중요하다. 하지만 복지부는 장기기증 활성화 홍보 예산을 2008년 3억4000만원, 2009년 4억4000만원, 2010년 10억4000만원으로 늘렸다가 올해 7억원으로 삭감했다. 복지부는 내년에도 올해와 같은 7억원의 홍보 예산만 책정했다. 민주당 전현희 의원은 “복지부가 범국민 생명나눔 문화 조성을 위한다며 기획한 ‘희망의 씨앗 생명나눔 기념행사’는 지난해 단 한 차례 개최하는 생색내기에 그쳤고, 의료진 간담회도 연 2회 여는 데 머물렀다”고 지적했다.

특히 뇌사자 장기기증을 늘리려면 장기기증자 예우 강화와 사후(가족) 관리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복지부는 2002년부터 뇌사 장기기증자를 위해 장례비, 진료비 등으로 약 540만원의 위로금을 주고 있다. 하지만 금전 보상이 기증자의 순수한 의도를 퇴색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때문에 일회성으로 끝나는 현재의 비용 지불 방식에서 탈피해 유족들에게 등급별 연금제나 진료비, 보험료 감면 등 혜택을 주도록 하자는 의견이 많다. 추모공원 건립, 장기기증 기념행사 개최 등을 통해 숭고한 생명 나눔에 대한 존중 문화가 확산되도록 해야 한다는 여론도 높다. 복지부도 장기기증자 추모공원 건립을 검토했지만 내년 예산에 반영되지 않았다.

이밖에 장기구득 코디네이터 확충이 시급하다. 현재 한국장기기증원에는 1권역(서울·인천·경기도·강원도·제주도) 17명, 2권역(충청·전라도) 9명, 3권역(경상도) 10명 등 36명의 코디네이터가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장기이식법 개정 후 뇌사 추정 신고가 급증해 최소 50명까지 늘릴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민태원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