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음악 이야기] 현대 복음성가 효시
찬양이란 기뻐하고 즐거워하며 인간의 온몸과 모든 수단으로 하나님을 높이고 경배하는 것을 말한다.
시편 134편 2절에는 ‘너희 손을 들고 여호와를 송축하라’라고 했다. 찬양은 인간이 숨 쉬는 것처럼 우리의 호흡이 있는 자마다 여호와를 찬양하며(시 150:6) 호흡이 다하는 순간까지 있어야 할 인간의 과제이다(시 63:4). 교회음악에 있어서 가장 중심적인 활동이라면 예배음악, 즉 성가대의 찬양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영국의 교회음악에서의 찬송가의 발전을 소개해 본다.
1527년 헨리 8세의 이혼 문제로 촉발된 교황과의 갈등은 급기야 1533년 앤 볼린과의 재혼을 계기로 이듬해 국왕령을 공포하여 로마가톨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했다. 영국 국민의 정치·경제적 문제가 국왕에게 유리하게 전개되면서 가톨릭교회로부터 독립, 영국 성공회로 나타나게 된다.
로마와 결별 이후 프로테스탄트운동이 탄력을 받기 시작하였다. 영국 교회 자체는 가톨릭을 모체로 하는 국교회를 중심으로 삼았고, 영국은 교회음악에 있어서 크게 부각되는 작곡가가 드물었다. 그러나 음악가 토머스 탈리스가 전기를 마련했다. 그는 영국의 성공회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대표적 음악인 앤섬(Anthem)을 주로 작곡했다. 이 앤섬은 예배용 음악으로 로마가톨릭의 모테트와 같은 형태의 음악이다. 그리스 또는 라틴어의 안티폰(Antiphona)에서 유래했다.
또 종교개혁 이후 찬송가의 변화의 주역인 아이작 와츠는 교육을 받지 못한 일반 신자들까지도 찬송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대중 예배에 찬송을 도입하는 업적으로 영국의 교회에서의 부흥운동인 복음운동을 일으킨다.
영국에서 복음에 관한 내용을 담은 찬송은 웨슬리 형제로부터 시작되어진다. 형인 존 웨슬리는 부흥 인도자로, 동생인 찰스 웨슬리는 찬송가 작사자로 활약했다. 동생 찰스의 작사는 종교개혁의 영향을 받아 자신의 영적 체험과 자서전적인 성격의 6000편이 넘는 가사를 작사하였는데, 그의 가사는 쉬우면서도 직접적인 표현을 사용하였다. 그 내용은 전래적으로 찬송의 정리된 운율과 선율의 틀에서 벗어나 생기가 넘치고 열정적인 찬송의 형태로 발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해 현대 복음성가의 효시를 이루게 됐다.
이들 웨슬리 목사 형제의 최초의 찬송가집은 1737년에 ‘시와 찬송의 모음’이라는 제목으로 영국에서 출판됐다. 이를 계기로 미국의 부흥집회에 큰 영향을 주게 되었다.
찰스 웨슬리의 작사는 시편이나 찬송 그리고 송영 등의 노래가 하나님을 향한 찬양의 성격을 가지고 불리어졌다면 그의 복음찬송 성격은 다소 도전적인 진취성을 가진 노래들로 작곡되었다. 다시 말해 노래는 전도의 내용으로 된 가사를 가진 것과 예수 그리스도에게 인도하는 내용, 또는 회개를 소재로 하는 가사와 하나님의 자비를 체험한 증거를 가사에 담았다. 기존의 가사가 하나님을 찬양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하였다면 복음찬송의 가사는 기존의 가사와 성격을 달리하는 그야말로 전도와 체험에 의한 간증을 담은 가사로 그 방향을 전환했다. 이로 인해 현대 복음성가의 효시를 이뤘다.
1559년 영국의 엘리자베스 1세가 내린 통일령에 반발하고 로마가톨릭적인 제도와 의식 등을 배척하며 칼뱅주의에 투철한 개혁을 준행하는 프로테스탄트 개혁파들은 계속되는 종교적 박해를 피해 네널란드와 기타 지역으로까지 피했다. 그리고 1620년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미국에 필그림 파더스가 정착하면서 새로운 미국의 신앙과 찬송가 역사가 시작됐다.
미국의 초기교회 음악이 대부분 영국과 유럽의 음악이 수입된 가운데 그 본토의 특징이 혼합되면서 그 뿌리를 어디에 두어야 할지 혼란을 가져오게 된다.
김기원 (관동대 음악학부 교수)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