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공영방송 실태는… BBC·NHK도 중립성 논란 시달려
세계 각국의 공영방송도 공정성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강형철 숙명여대 정보학과 교수는 “공정성 논란은 어느 공영방송이나 겪는 문제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워낙 이념적으로 좌우로 갈려있어서 공정성 논란이 거센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의 BBC가 2003년 영국 정부가 이라크 전쟁에 참전한 것을 비판하는 프로그램을 내보냈다가 그렉 다이크 사장이 브레어 정권에 의해 쫓겨난 것이 한 사례다. BBC는 그 이전 2001년에는 집권 노동당 당원인 게이빈 데이비스가 신임 이사장으로 선임되면서 중립성 논란에 시달렸다.
각계 인사 77명으로 꾸려진 독일 ZDF의 시청자평의회는 이해 관계가 다른 각 정치 세력의 대변자들로 구성돼 있어, 사장을 선임할 때마다 진통을 겪곤 한다. 일본의 NHK도 친정부적인 보도 행태를 보인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전문가들은 ‘공정성’이란 개념은 여러 뜻으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KBS가 모델로 추구하는 해외 방송사의 공정성 개념을 살펴볼 것을 권한다. 강 교수는 “KBS가 지향하는 방송이 해외 어느 방송사와 비슷하고, 그 방송사는 어떻게 공정성을 지켜가고 있는지를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 교수에 따르면 NHK의 경우 중립성을 중요시하는 공정성을 추구한다. 이 때문에 비판적인 뉴스보다는 사실을 전달하는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논란을 부르지 않는 방송’에 무게를 두고 있는 셈이다.
KBS가 지향하는 영국의 BBC는 ‘적절한 불편부당성’을 공정성의 근본적인 원칙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는 어느 쪽에도 치우치 않는 균형성보다도, 사회적인 약자와 같은 소외 계층에 대한 배려를 강조한다. 자본으로부터의 독립과 권력으로부터 독립을 추구하기 때문에 방송은 다소 진보적인 성향을 띠고 있다. 또한 우리의 방송통신위원회와 같은 오프콤(Ofcom)의 규제를 받으면서도 정확성과 불편부당성에 관해서는 자체 위원회인 BBC 트러스트에서 자율 심의하고 내외부로부터 철저한 감시를 받는다.
독일의 ZDF는 각 정치 세력의 대표들이 골고루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해 상이한 정파성을 두루 드러낸다. 이는 특정 거대 정파로부터 방송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프랑스는 해외 공영방송 중에 공적 기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프랑스 내에서도 FT방송은 언론이라기보다는 정부의 공적 업무를 수행하는 기구로 인식되고 있다. FT방송의 공영성은 법률 자체에 정치적 단체, 직업적 조직들, 종교단체 등에 방송이용(접근)권을 명시하는 규정을 두거나, 양 측의 입장을 동등하게 실어야 한다는 보도 원칙을 갖고 있다. 균형성에 방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선희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