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 신소재공학부 이장식 교수팀,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는 새 반도체 소자 개발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는 새 반도체 소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국민대 신소재공학부 이장식(36·사진) 교수팀은 얇은 플라스틱 기판에 유기메모리 소자를 붙여 쉽게 휘고 접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이날자 나노과학 분야 전문 잡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 교수팀은 일반적으로 딱딱한 재질의 실리콘 기판으로 제작되는 반도체 소자를 얇고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으로 대체했다. 또 정보저장 층에 전하를 저장하는 특성이 뛰어난 ‘금 나노입자’를 사용, 전원 공급이 끊겨도 정보를 최장 1년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이 교수는 “이 기술을 이용하면 시계처럼 손목에 차는 휴대전화, 티셔츠처럼 입고 다닐 수 있는 컴퓨터, 두루마리 형태의 전자책이나 디스플레이 등 신개념 차세대 전자제품을 향후 10년 안에 산업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