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직 근로자 증가… 고용의 질 좋아졌다
상용직 고용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고용의 질이 개선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노동연구원 황덕순 선임연구원은 노동리뷰 최신호에 실린 ‘상용직 근로자 증가 실태 분석 보고서’에서 지난해 상용직 근로자 수가 939만명으로 5년 전인 2004년 762만5000명보다 176만5000명 늘었다고 밝혔다.
상용직 근로자가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지난해 40%로 2004년 33.8%보다 6.2% 포인트 증가했다. 상용직은 일반적으로 고용계약 기간 1년 이상의 일자리를 뜻한다.
상용직 근로자 비율이 늘어나는 현상은 노동시장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나타났다. 특히 전문직과 사무직, 사업서비스업과 교육보건 및 사회복지업이 증가세를 주도했다.
전체 취업자 중 남성 상용직 근로자 비율은 2004년 40.5%(533만6000명)에서 지난해 46.2%(633만8000명)로 5.7% 포인트(100만2000명) 늘었다. 여성은 2004년 24.4%(228만9000명)에서 지난해 31.2%(305만1000명)로 6.8% 포인트(76만2000명) 증가했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5∼99인 사업체가 전체 증가분의 60% 이상을 차지했고, 연령별로는 40대의 상용직 고용증가 규모가 가장 컸다.
황 선임연구위원은 “상용직 고용 비중이 2002년 이후 꾸준히 늘고 있다”며 “최근 몇 년 동안 노동시장은 상용직 근로자의 고용을 늘리는 방향으로 고용관리 방식을 바꾸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