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인 조사단장에 윤덕용 KAIST 명예교수
정부는 11일 국방부 천안함 침몰 사고 민·군 합동조사단의 민간인 조사단장에 윤덕용(71)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명예교수를 임명했다. 또 민간인 30명을 포함, 146명으로 합조단을 구성키로 했다. 이는 정부가 당초 밝힌 130여명보다 20명 가까이 늘어난 숫자다. 미국 전문가 7명도 이날 한국에 도착, 12일부터 합조단 활동에 참여한다.
이명박 대통령의 민간인 조사단장 임명 지시에 따라 중책을 맡게 된 윤 명예교수는 미 MIT대 물리학 석사와 하버드대 응용물리학 석사 및 박사 출신으로 미 웨인 주립대 재료공학과 교수, KAIST 재료공학과 교수 등을 역임했다. 1995∼98년 KAIST 원장을 지내기도 했으며, 재료 분야의 권위자로 알려져 있다.
이번 사고 조사는 과학수사와 선체구조 조사, 화약 및 폭발물 조사, 정보 및 작전분야 조사 등 4개 분과로 나뉘어 진행될 예정이다. 합조단은 또 분과 산하에 소위원회를 설치키로 했다.
국방부 조사본부가 주축을 이루고 있는 과학수사 분과에는 유전자 분석 전문가와 열상감시장비(TOD) 촬영 영상을 담당할 컴퓨터 그래픽 전문가 등이 포함된다. 첨단 기법을 동원, 사고 원인을 밝히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선체구조 조사 분과는 천안함을 건조했던 선박회사 설계담당과 건조담당, 합동참모본부의 군함전문가들이 대거 참여, 절단면과 내부구조 파괴 상황 등을 분석한다. 사고가 내부균열에 의한 것인지, 외부충격에 의한 파괴인지를 집중적으로 파고들게 된다.
아울러 절단면에 대한 비파괴 검사 등을 실시하고 절단면 형상과 파편물의 원 성분 및 충격에 의해 변화된 성분 등을 분석, 이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대입해 사고 원인을 밝히는 작업을 병행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학계에서 활용되고 있는 ‘파괴역학’에 대한 조사가 많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화약 및 폭발물 조사 분과는 폭발물의 성분과 폭발 양상 등을 맡는다. 폭발물 유형은 현재 3가지 정도가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이 주를 이룰 정보 및 작전분야 조사 분과는 사고 발생 전 정보본부의 북한 정보분석에 이상이 없었는지, 천안함이 수행 중이던 작전과 군의 초기 대응은 적절했는지를 우선 규명하게 된다. 또 해군과 합참의 보고체계와 군 최고경계태세인 ‘서풍-1’ 발령 때 군 전력이 제대로 운영됐는지도 조사 대상이다.
군 관계자는 “과거 영국이나 러시아 해상사고의 경우 3∼4개월 후 사고 원인이 발표됐다”면서 “이번 조사는 보다 신속히 이뤄질 수 있지만, 파장을 고려해 발표는 늦게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