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나일본부는 없었다” 한일역사연구위 ‘용어 자체 부적절’ 의견 일치
한국과 일본의 역사학자들이 4세기에서 6세기까지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일본 교과서 내용과 관련, 야마토 정권이 한반도에서 활동했을 수 있지만 ‘임나(任那)일본부’라는 공식 본부를 설치해 지배했다고 볼 수는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한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양측의 공감대는 한국 관련 고대사에 대한 일본 국민들의 역사 인식에 상당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최종 연구보고서를 23일 발표할 예정이다.
한·일 역사학자들은 일본이 그간 주장해온 임나일본부설과 관련, 임나일본부라는 용어 자체가 부적절한 것으로 봤다. 임나일본부설은 일본의 야마토왜(大和倭)가 4세기 후반 한반도 남부 지역에 진출해 백제, 신라, 가야를 지배하고 가야에는 일본부라는 기관을 둬 6세기 중엽까지 직접 지배했다는 주장으로, 일제의 한반도 지배를 정당화한 대표적 식민사관이다.
양측은 또 조선을 침략했던 왜구에 조선인이 포함됐다는 일본 교과서 기술 내용은 사실이 아니며, 왜구는 대마도와 일본 본토 해안에 거주하는 일본인 중심의 해적집단이라는 사실에도 동의했다.
그러나 한·일 역사학자들은 을사늑약과 한일강제병합조약의 위법성, 태평양전쟁 당시 강제징용 등 양국 과거사의 핵심 쟁점에서는 서로의 견해차를 좁히지 못해 결국 보고서에 각자의 의견을 병기키로 했다.
특히 일본 측은 한일강제병합조약이 국제법적으로 합법적이었으며, 조선에 대한 식민지화가 진행됐음은 돌이킬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우리 측은 조약이 일본의 강압과 사술(邪術)에 의해 강요됐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해당 조약이 원인 무효임과 동시에 식민 지배가 부당했다고 반박했다.
이와 함께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 교섭과 관련, 일본 측은 청구권 문제가 해결됐다고 주장한 반면 우리 측은 개개인의 청구권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으며 반드시 조약을 개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독도 문제 등도 공동연구 주제에서 제외됐다.
2002년 3월 출범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는 2005년 5월까지 가동된 데 이어 양국 정상의 합의로 2007년 6월 일본 도쿄에서 2기 활동을 시작했다. 위원회는 지난해 11월까지 운영돼 한·일 합동 전체회의를 5차례, 분과별 회의를 62차례 개최했다.
이도경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