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정감사 증인 출석 논란이 불거졌던 김현지(사진)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이 대통령을 가장 가까이서 보좌하는 제1부속실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대통령실은 김 비서관 전보와 함께 균형인사제도비서관 신설로 인사 기능을 보강하는 등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야당은 김 제1부속실장의 국감 회피용 인사라고 비판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29일 “조직 개편으로 대변인을 추가해 대국민 소통을 더 늘리겠다”고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신임 대변인에는 김남준 현 제1부속실장이 임명됐다. 김 신임 대변인은 강유정 현 대변인과 함께 공동대변인으로 활동한다.
김 제1부속실장은 김 대변인과 함께 성남시장 시절부터 이재명 대통령을 보좌해 온 복심으로 꼽힌다. 야당은 김 제1부속실장의 인사이동이 국정감사 출석을 회피하기 위한 꼼수라고 비판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국정감사에 총무비서관이 출석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인데, 갑자기 (김 제1부속실장이) 자리를 바꿔버렸다”며 “‘그림자 대통령’이 국민 앞에 드러나는 것이 두려운 것인가. 이 기발하고 독특한 발상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그러나 김 제1부속실장이 여야가 합의하면 국정감사에 출석하겠다는 뜻을 밝혔다며 “국감과는 무관한 인사”라고 반박했다. 그는 “한 번도 국회에 안 나가고 싶다고 한 적 없다”며 “보직과 상관없이 국회에서 결정하는 대로 하겠다”고 말했다고 대통령실 관계자가 전했다.
이와 함께 김 대변인의 깜짝 발탁을 두고 정치권에서는 김 대변인의 내년 지방선거 혹은 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김 대변인은 성남시에서도 이 대통령의 ‘입’ 역할을 담당했다.
신임 총무비서관에는 이 대통령 성남시장 시절 비서실장을 지낸 윤기천 현 제2부속실장이 임명됐다. 이날 보직 변경된 세 사람 모두 ‘성남 라인’으로 분류되는 이 대통령 최측근인 셈이다. 대통령실은 김혜경 여사 업무를 담당하는 제2부속실장은 후임 인선까지 비워두기로 했다.
대통령실은 인사수석 산하에 균형인사제도비서관을 신설해 인사 기능을 보강했다. 홍보소통수석 산하에 있던 김남국 디지털소통비서관은 비서실장 직할로 이동해 디지털 소통 기능을 담당한다. 정책홍보비서관실과 국정홍보비서관실은 통합한다. 우상호 정무수석 산하에는 정무기획비서관을 신설하고, 권순정 국정기획비서관이 직제를 바꿔 맡도록 했다. 비서실장 직속으로 국정 현안 점검·대응을 위한 국정기획자문단도 설치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 대통령 취임 후 100일간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벽돌을 쌓아 올리듯 시스템을 만들어갔고, 어느 정도 시스템이 잡혔다고 판단했다”며 “개편이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해 업무 효율성 등을 고려한 업무 조정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최승욱 이형민 기자 apples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