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정부가 확장재정 기조를 굳히면서 국가부채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추가 재정 마련 없이 국정과제를 위해 210조원을 투입하려는 계획은 현실성이 없는 데다 국가신용등급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재정정보공개시스템 ‘열린재정’에 공시된 국제통화기금(IMF) 정부재정통계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일반정부 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56.6%로 전망됐다. 이는 중앙·지방정부, 비영리공공기관의 부채를 합산해 내는 통계로, 한국의 부채 비율은 2028년까지 계속 늘 것으로 전망됐다.

여기에 지난 13일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국정운영 5개년 재정투자계획’이 더해지면 부채 증가 속도는 빨라질 수 있다. 정부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국정과제 이행을 위해 총 210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추가 재정 투입 없이 116조원은 지출 구조조정과 기금·민간 재원 활용을 통해, 94조원은 세제개편과 세입기반 확충을 통해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같은 계획이 현실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양준모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조세 행정이 이미 투명해진 만큼 아무리 혁신을 추진해도 추가 세수 확보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결국 국채 발행을 통한 재정 지출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결론이 나와 재정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올해 국채 이자비용만 30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부 총지출 중 국채 이자비용 비중도 2023년 4.0%, 2024년 4.4%로 2년 연속 4%를 넘겼다.
국채 비용이 커지면 국가신용등급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국가신용등급은 부채뿐 아니라 지정학·정치적 요인도 함께 반영돼 당장 하락할 가능성은 낮다”면서도 “한국은 공공부문 부채(D3)까지 고려하면 부채 비율이 크게 오르는 데다 가계부채 비율도 높아 장기적으로는 부채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올해 한국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국가신용등급은 AA다. 한국과 같은 등급을 11년간 유지한 프랑스는 지난해 국가재정 악화, 정치적 불확실성 등 복합적 이유로 한 단계 아래인 AA-로 강등됐다. 한국은 프랑스보다 재정 여건이 안정적이지만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된 지 오래되지 않았고 미국의 관세 인상이라는 변수가 남아 있어 부채 관리에 긴장을 늦출 수 없다.
중장기 재정건전성을 신경쓸 필요도 있다. 무디스 연례협의단은 지난 8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고령화 등 한국의 인구구조 변화가 중장기 재정 여력에 미칠 영향을 지적했다.
세종=이누리 기자 nuri@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