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 건재·가족 간 단절… 피해자는 여전히 고통 속에

Է:2025-07-16 03:03
ϱ
ũ

여신도 성폭행 JMS ‘17년형 확정’ 반년 지났는데

JMS 교주 정명석이 대법원에서 징역 17년형을 선고받았지만 피해자들은 여전히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사진은 2023년 JMS 신도들이 시위하는 모습. 국민일보DB

한국교회 주요 교단이 이단으로 규정한 기독교복음선교회(JMS) 교주 정명석(80)이 여신도를 성폭행한 혐의로 대법원에서 징역 17년형을 선고받은 지 반년이 지났지만 피해자들의 고통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정명석이 남긴 조직과 교리가 여전히 건재해 가족 간 단절이나 2세 세뇌, 정신적 고립과 같은 2차 피해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막내 처남은 JMS 교리를 따르지 않고 일반인과 결혼을 택했다는 이유로 가족 내에서 멀어졌고 결국 스스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JMS를 탈퇴한 뒤 반JMS 활동가로 나선 A씨는 지난해 가을 막내 처남을 떠나보냈다. 과거 A씨 가족 대부분이 JMS에 출석할 때 혼자 JMS를 거부했던 처남이 결혼 후에도 가족 안에서 고립되던 중 극단적 선택을 했다.

A씨는 15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가족들은 오히려 처남의 극단적 선택을 두고 JMS를 반대해 저주가 임했다고 하고 있다”며 “신도들은 탈퇴자를 단절시키고 탈퇴한 가족과도 연락을 끊으라는 교육을 받는다”고 폭로했다.

A씨는 2023년 정명석 측근인 한 간부로부터 성범죄 관련 진술을 들은 뒤 직접 법원에 출석해 JMS의 실상을 확인하고 탈퇴를 결심했다. 처가 가족들과 동반 탈퇴를 시도했으나 나머지 가족은 그를 배신자로 몰았고 조카는 메신저에 욕설 이미지를 공유하며 반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A씨는 “정명석은 수감됐지만 교리는 아직도 우리 가족 안에 살아 있다”며 “여전히 JMS에 남아 있는 가족들은 나를 ‘사탄’ ‘영적 바퀴벌레’라고 부르며 관계를 단절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피해는 A씨 개인에 국한되지 않는다. 20년 넘게 두 딸을 JMS에 빼앗긴 B씨도 유사한 어려움을 호소했다. 그는 JMS 건물 앞에서 ‘내 딸을 돌려 달라’는 팻말을 들고 수년간 시위를 했지만 돌아온 건 폭행과 고소였다. 시위 도중 한 신도에게 폭행당했을 때 그의 딸은 경찰서에 와서 가해자를 두둔했다. 오히려 B씨가 재판에 넘겨졌을 때는 고소인 대표로 딸이 나섰다고 한다.

B씨는 “정명석이 2009년 성범죄로 10년형을 받았을 때 딸들이 돌아올 줄 알았으나 오히려 ‘정명석의 감옥살이가 십자가’라는 교리를 배우며 더 완고해졌다”며 “두 딸은 결혼 생각조차 하지 않고 교주에게 인생을 바치고 있다”고 울먹였다.

JMS 신도인 부모 때문에 JMS 신도로 나고 자란 C씨는 최근 극단적 선택을 고민했다고 한다. 그는 정명석의 성범죄 관련 자료를 주변에 전달했다는 이유로 JMS 측으로부터 고소를 당했고 압박 수사를 받는 과정에서 정신적으로 무너졌다.

가족과의 관계 역시 망가졌다. JMS 교회에 출석하지 않는다던 부모는 여전히 JMS 관련 물품을 버리지 않고 있다고 했다. C씨는 “제가 고소를 당했는데도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는 건 물론이고 나를 ‘모태 JMS 신도’로 만든 걸 사과하지 않고 JMS 관련 물품도 그대로 두고 있다”며 “가족이지만 더는 마음이 열리지 않는다”고 호소했다.

JMS의 교리와 조직이 살아 있는 한 피해자들의 고통은 끝나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JMS 피해자를 지원해 온 김도형 단국대 교수는 “교단 간부들이 여전히 ‘정명석의 성범죄는 거짓’이라며 피해자와 내부 비판자들을 비방하고 있다”며 “심지어 진실을 알면서도 그것이 섭리라고 생각하는 신도들도 적지 않다”고 꼬집었다.

법조계에 따르면 현재 정명석 재판에 연루된 피해자만 14명이다.

김 교수는 “피해자 중 일부는 고소장을 제출한 지 3년이 지나도록 1심 판결조차 받지 못했다”며 “재판부가 병합 심리를 이유로 선고 일정을 미루면서 피해자들은 하염없이 기다리는 형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신천지 문제에 관심을 보인다는 보도를 봤다”며 “신천지, 하나님의교회 등 이단 사이비 종교 전반에 대한 수사를 단행할 적기”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교회는 피해자들의 회복에 적극적인 관심을 두고 이단 대처와 동시에 회복을 위한 교육 강화에도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동규 기자 kky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Ŀ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