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이 한 달도 남지 않은 가운데 주요 농산물 가격 상승세가 심상찮다. 배추와 무 소매가격은 1년 전보다 1.6배 이상 올랐다. 지난해 여름 길었던 무더위가 올해 초 농산물 가격에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배추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 3일 기준 한 포기에 5027원이었다. 1년 전(3163원)과 비교하면 58.8% 올랐다. 평년 가격(3754원)보다도 33.9% 상승했다.

무 가격은 더 뛰었다. 3일 기준 개당 소매가는 3206원으로 1년 전(1807원)보다 77.4% 급등했다. 평년가(2099원)와 비교해도 52.7% 오른 금액이다. 평년 가격은 최근 5년간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가다.
배추와 무 가격 급등에는 날씨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여름철 길었던 무더위로 생육이 부진한 게 컸다. 무의 경우 최근 주산지인 제주에서 평년 대비 비가 자주 내리면서 생산량이 줄었다. 배추도 무도 날씨 탓에 공급 자체가 감소했다.
정부의 임기응변식 물가대책이 겨울철 농산물 가격을 띄웠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김장철 ‘금(金)배추’ 대란이 일자 정부 주도로 배추와 무를 조기 출하했다. 당시 가격 급등세는 다소 진정시켰지만, 겨울철 공급 감소로 가격이 오르는 상황이 이어졌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이유다. 정부는 다시 배추 가격 안정을 위해 가용 물량을 최대한 시장에 방출하고 수매를 잠정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상황 악화 대비해 배추를 수입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제철과일인 배 가격도 오르고 있다. 배(신고) 평균 소매가격은 10개에 4만1955원으로 지난해(3만3681원)보다 24.6% 오르고 평년(3만3984원)보다 23.5% 높은 가격을 기록했다. 지난해 배 생산량이 전년보다 3%가량 감소한 데다 저장 단계에서 폭염으로 유통 가능 물량은 그보다 더 줄면서 공급 부족을 초래했다. 지난해 가격 폭등으로 논란이 됐던 사과(후지) 평균 소매가격은 10개에 2만6257원으로 1년 전(2만9235원)보다 10.2% 내렸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