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놀이와 돌봄 기능에 집중한 ‘서울형 키즈카페’를 현재 5곳에서 올해 50곳으로 10배 늘린다. 시는 2026년까지 서울형 키즈카페를 총 200곳까지 늘릴 예정이다. 이를 위해 공공시설뿐 아니라 아파트, 종교시설 등 민간시설도 활용할 방침이다.
시는 5월 광진구 자양4동점을 시작으로 올해 말까지 ‘서울형 키즈카페’ 50곳을 개관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이와 동시에 올해 말까지 추가로 서울형 키즈카페를 설치할 수 있는 부지 50곳도 선정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키즈카페처럼 50~100평 정도 면적의 사업은 대상지 선정도 어려움이 있다. 일단 100곳의 부지를 선정하고 절반 정도 문을 여는 것이 목표”라며 “2026년 말까지 총 400곳의 부지를 선정하고, 200곳을 개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형 키즈카페는 부담 없는 가격으로 미세먼지, 날씨 등 제약 없이 모든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는 공공실내놀이터다. 현재 종로구 혜화동점을 비롯해 5곳이 운영되고 있다.
시는 올해 서울형 키즈카페 확대를 위해 공공시설뿐 아니라 아파트 단지, 종교시설, 폐원 어린이집 같은 지역 내 민간시설에도 서울형 키즈카페 조성을 추진한다. 시는 자치구와 민간에서 서울형 키즈카페 조성사업 참여시 리모델링 최대 12억원, 신·증축 최대 24억원까지 설치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운영비는 지난해 대비 2배 이상 올려 월 평균 1275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아파트 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입주자 예약우선권 제공 같은 편의도 제공할 예정이다.
시는 올해부터 보육교사 등 자격을 갖춘 전문 돌봄요원이 아이를 잠깐 돌봐주는 ‘놀이돌봄서비스’도 시작한다. 키즈카페에 부모가 아이를 잠깐 맡기고 장보기나 병원진료 같은 간단한 볼일을 볼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또 돌봄요원 1명이 2~3명의 아이를 전담하는 식으로 안전도 강화한다.
또한 시는 키즈카페 내에서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의 선제적 예방을 위해 국내 최초로 ‘놀이시설 위험가치평가’를 마련해 조성부터 운영까지 전 과정 안전관리에도 나선다. 이와 함께 아동 스스로 위험성을 인지해서 수칙을 확인 후에 놀이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 전 안전교육도 함께 시행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집 근처 생활권에서 더 많은 서울형 키즈카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올해는 공공시설뿐 아니라 아파트 등 민간시설에도 조성을 추진하고, 안전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