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확산세로 위중증 환자가 연일 최다치를 기록하면서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에서 병상 부족 사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고령층 병상 대기자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들의 증상 악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경우 의료마비 사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병상 확보를 위해 ‘재택치료’를 선택이 아닌 기본 치료 방식으로 전환하는 ‘강수’를 꺼내 들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26일 0시 기준 수도권 병상 대기자 수가 전날(940명)보다 370명 급증하며 131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1일 이상 대기자는 712명, 2일 이상 대기자 240명, 3일 이상은 119명, 4일 이상은 239명으로 대기 기간도 늘어나는 추세다. 이 가운데 70세 이상 고령자는 484명, 고혈압·당뇨 등 기타 질환자는 826명으로 대기 기간 중에 증상이 급격히 악화할 경우 즉각적인 의료조치가 이뤄지지 못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의료계는 사실상 의료마비 상태에 가까워졌다고 평가한다.
이에 정부는 ‘재택치료 기본화’라는 대안을 조기에 꺼내 들었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은 “앞으로는 일상회복에 맞게 재택치료가 기본이 되는 의료체계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며 “재택치료를 기본으로 하고 입원 필요성이 있는 환자는 생활치료센터나 병원에 입소하는 체제로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재택치료는 ‘선택제’로 운영되고 있다. 입원 요인이 없는 70세 미만 무증상·경증 확진자가 주요 대상이다. 60세 이상은 접종을 완료하고, 보호자와 공동격리하는 경우 재택치료가 가능하다. 재택치료 환자는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병원, 보건소의 협력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데 하루 2회 건강 상태 모니터링을 받는다. 증상이 악화하면 즉시 병원으로 이송된다.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 대상자는 총 7193명이다.
하지만 의료계에서는 현재처럼 단순 모니터링이 이뤄지는 방식의 재택치료가 기본 방식이 되면 위중증 환자의 급증으로 사망자가 크게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또 이미 포화 상태인 환자 이송체계를 안정화하지 않으면 뇌출혈이나 심근경색 등의 응급환자들이 제때 병원으로 이송되지 않는 ‘의료공백’도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집에서도 항체 치료를 받거나 전문 의료진에게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는다면 재택치료는 무의미할 수 있다”면서 “병상을 최대한 확보하고 거리두기를 강화하는 식의 방역 강화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오는 29일 청와대에서 특별방역점검회의를 주재해 방역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다만 정부는 영업시간 제한이나 사적모임 인원 제한 강화 등 이른바 ‘긴급 멈춤’을 시행하기보다는 방역 구멍을 메우는 데 집중할 전망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현재로서 정부가 쓸 수 있는 카드는 추가 접종을 강화하는 것”이라며 “(긴급 멈춤과 같은) 후퇴 카드를 쓰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전성필 문동성 기자 fee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