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회만 맞아도 예방 효과 76%

Է:2021-02-04 04:06
ϱ
ũ

12주 뒤 2차 접종 땐 82.4%로 껑충
65세 이상 고령층 접종은 논란 여전

영국 제약회사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학이 공동개발한 코로나19 백신. AFP연합뉴스

영국 제약회사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학이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의 1회차 접종 효과가 7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2차 접종 간격을 12주로 벌렸을 때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나 주목된다.

2일(현지시간) BBC에 따르면 옥스퍼드대는 영국과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서 지난해 12월 초 18~55세 성인 1만7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를 학술지 랜싯에 공개했다. 이 결과를 보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첫 효과는 접종 후 22일째 되는 날에 나타났다. 그 후 90일간 76% 수준의 보호 효과가 유지됐다.

또 첫 접종 12주 뒤 2회차 접종을 받으면 효과는 82.4%로 올라갔다. 반면 1차 접종과 2차 접종 사이의 간격을 6주 미만으로 설정했을 경우 예방률이 54.9%에 불과했다. 첫 임상 결과 발표에서는 4주 간격으로 접종을 실시했는데 이때는 평균 62%의 예방률을 보였다. 접종 간격을 12주로 채택했을 때 백신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이다.

가디언은 이를 두고 1회 접종만으로 코로나19의 확산을 상당히 막을 수 있게 된 만큼 고무적인 신호라고 평가했다. 백신 공급 부족에 시달리는 각국 정부는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백신을 맞히기 위해 백신 접종 간격을 늘리고 있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접종 간격을 늘렸을 때의 효과와 관련된 자료가 전무한 상황이다.

연구에 참여한 앤드루 폴라드 옥스퍼드대학 수석조사관은 “접종 간격을 늘렸을 때 기대 효과가 확대되는 현상은 독감 백신과 에볼라 백신에서도 확인됐다”고 말했다.

다만 65세 이상 고령층에 대한 접종 효과는 여전히 논란이다. 독일 예방접종위원회는 고령층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대상군을 18~64세로 제한했다. 이탈리아 의약청은 18~54세에게만 접종할 것을 권고했다가 ‘건강한 55세 이상’을 접종 대상에 추가했다. 스웨덴은 65세 이상에는 이 백신의 접종을 권고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

확진자 다시 400명대… 거리두기 조정 안갯속
“XXX아 아프다” 욕설·모욕에 선별진료소 떠나는 의료진들
‘반전’ 러시아 백신… 효능 92% 확인, 독일도 사용 시사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 첫 지역 집단감염… 확산은 시간문제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