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 간 자연재난에 따른 재산피해가 가장 많은 광역자치단체는 경상북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양기대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광명을)실이 행정안전부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해 28일 발표한 ‘지난 5년 간 광역자치단체별 자연재난 재산피해 현황’에 따르면 경북도가 입은 재산피해 금액은 2082억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월등히 높았다. 경북에 이어 경남 1038억원, 강원·충북 745억원, 울산 660억원 등의 순으로 재산피해가 많았다. 가장 적은 곳은 광주로 1억2400만원이었다. 경북지역의 재산피해액은 경남의 두 배, 가장 적은 광주에 비해 무려 1700배나 많았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르면 자연재난은 태풍 홍수 대설 한파 가뭄 폭염 지진 등에 준하는 자연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로 국민의 생명·신체·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지난해 자연재난에 따른 전국 피해 금액은 총 2160억여원으로 전년도인 2018년도(1413억원)에 비해 53%나 늘었다. 그러나 2015년의 3186억원에 비해서는 크게 줄어든 금액이다.
인명피해(사망)는 지난해 24명으로 2018년도의 4명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7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경상도와 강원 충북 울산 등의 피해가 다른 시·도에 비해 큰 이유는 산지가 많고 태풍이 자주 지나가는 경로에 위치한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양기대 의원은 “자연재난으로 인한 재산피해가 큰 지역을 최우선으로 취약지역을 찾아내고 과학적 체계적 상시적으로 철저한 예방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