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5일 마침내 두 자릿수로 떨어졌다. 격리 해제된 완치자 수가 추가 확진자 수를 웃도는 현상도 지속되고 있다. 이즈음 정부나 방역 당국이 유의해야 할 것은 크게 두 가지다. 기존 방역망이 행여나 허술해지지 않도록 다잡는 일, 그리고 이미 현실화된 경제적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정부가 최근 확진자 증가폭 감소에도 불구하고 신중한 입장을 취하는 건 타당하다.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안전망을 쳐야 하는 게 방역이다. 대구·경북 지역과 신천지발 확산세가 꺾이는 모양새지만 수도권 등지에서 다중 밀집 공간이나 의료기관 내 소규모 감염이 산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해외가 원인인 감염 사례도 다시 늘고 있다. 확진자 중심의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을 조기 발견하고 차단하는 동시에 취약 지점에 대한 선제적 조치를 계속해 나가야 한다. 자율적 통제가 길어지면서 지쳐가는 국민들을 다독이는 것도 시민사회 기반의 예방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권영진 대구시장이 조금만 더 고통을 감내해 달라는 담화문을 발표한 것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외출과 이동 최소화, 다중 이용 시설 일시 중단을 2주간 연장하는 일은 비단 대구 지역만의 과제는 아니다.
한계상황에 봉착한 경제 주체들을 지원하고 초토화되다시피 한 내수를 진작시킬 실효성 있는 정책을 입안해 차근차근 실행에 옮기는 일도 당면 과제다. 감염병 사태라는 일시적 요인으로 우리 경제가 치명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하고, 생산이나 소비가 자생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지원을 해야 한다. 해외에서 한 박자 늦게 시작된 감염 확산과 봉쇄 조치가 미칠 충격파를 최대한 막을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해야 함은 물론이다. 대구와 경북의 일부 지역이 이날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다. 중앙정부가 직접 나서서 피해 상황을 조사하고 복구 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민생 안정을 위한 지원을 강력하게 추진하겠다는 의미다. 자연재해가 아닌 감염병에 대해서는 처음이라는데, 코로나19 사태 지원에 대구·경북과 다른 지역이 따로일 수는 없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사설] 신규 확진 두 자릿수로 하락, 시민 자율통제는 계속해야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