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진영의 몇몇 세력을 합친 미래통합당이 출범했다. 민주자유당부터 신한국당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을 거쳐 온 이들이 새 이름을 내걸었다.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에 맞서기 위해 세를 규합한 결과물이다. 새롭게 당을 만들었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과정에서 갈라섰다가 다시 뭉친 모양새여서 ‘도로 새누리당’이란 비아냥거림이 나온다. ‘중도·보수’를 기치로 내걸었는데 인적 구성이나 정치적 지향점에서 무엇이 중도를 가리키는지 모호하다. 당명에 ‘미래’를 넣었음에도 혁신의 모습을 발견하기 어려워 이름과 실체가 겉도는 느낌이 든다. 선거가 당면했으니 뭉쳐야 한다는 논리를 통합의 동력으로 삼은 터라 통합의 산물도 그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머리는 놔둔 채 몸집만 불린 절반의 성과라 할 수밖에 없다. 나머지 절반의 변화는 이제부터 만들어가야 하고, 그것은 총선에서 받아들 통합의 성적표를 좌우할 것이다.
방향은 무조건 새로워지는 쪽이어야 한다. 탄핵 이후 보수 정당이 보여준 어떤 정치 행위도 국민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주지 못했다. 과거의 진영 논리를 답습한 것이었고, 그로 인해 더욱 견고해진 진영 구도에 안주한 것이었다. 내 진영의 힘을 키워 상대 진영을 꺾는 것이 목표라면 이 통합은 실패로 끝날 것이다. 지난해 조국 사태 이후 여당은 진영 정치를 노골화했다. 거기서 기인한 수많은 갈등이 나날이 누적되고 있다. 이런 정치에 맞서는 최선의 방법은 진영의 틀을 깨뜨리는 파괴적 변화를 시도하는 것이다. 보수와 진보로 나뉜 한국 정치의 진영은 이데올로기를 경계로 삼고 있다. 옳다고 믿는 가치를 구현하려는 이데올로기 정치를 넘어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한 것을 해내는 실용의 정치로 나아가야 할 때다. 자유 민주 공화 등 지키려는 가치가 너무도 확고한 보수의 미덕은 그것을 위해 발휘하는 유연함에 있고, 이는 진영 정치를 뛰어넘는 실용 정치의 토대가 될 수 있다. 미래통합당이 추구해야 할 혁신의 길은 유연함의 미덕을 재발견해 실천하는 과정이어야 한다. 지금 정치에 잔뜩 염증을 느끼고 있는 중도층과 무당층이 바라는 것이기도 하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사설] 몸집만 불린 미래통합당, 진영 정치 버려야 길이 있다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