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농업이 6차 산업이라는 융·복합의 날개를 달고 새로운 도약의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1+2+3=6’ 또는 ‘1×2×3=6’으로 표현되는 6차산업은 농촌에 존재하는 모든 유·무형의 자원을 바탕으로 생산(1차산업)에서부터 제조·가공 및 유통·판매(2차산업), 문화 체험·관광 서비스(3차산업)을 연계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활동을 총칭한다.
경북도가 6차산업이라는 카드를 내민 까닭은 지역농업·농촌이 전통적 생산소득만 의존해서는 더 이상의 경쟁력을 기대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경북도는 현장수요에 맞춘 다양한 6차 산업화 지원방안을 마련 중이다. 시설·장비 지원은 물론 인증농가 발굴·육성, 인증사업체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촌융복합지원센터 운영, 대형마트 입점 안테나숍 개설, on-off라인 기획특판전 개최 등 판매플랫폼, 거버넌스 확립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유형별 우수사례 발굴·경진대회 개최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쳐 나가고 있다.
또 모니터링, 전문가 의견수렴 등 지속적인 피드-백(feed-back) 과정을 거쳐 실행과정 중 나타난 미비점을 보완해 나가고 있다.
이런 노력들은 실행 5년차인 2019년 가시적 성과로 나타났다. 국가인증 농촌융복합사업자(6차 산업인증)는 2019년 말 214명으로 인증제가 도입된 2015년 88명에 비해 2.4배 증가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2023년까지 300명의 인증사업자 육성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농촌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2019년 인증 업체의 총 종사자(상시고용)는 1135명에 달한다. 사업체당 평균 5.3개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지역농산물의 안정적인 판매 창구 역할도 톡톡히 해내고 있다. 계약재배나 직접 생산한 1차 산물을 원재료로 농식품 가공 상품을 개발·판매함으로써 부가가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농업인들의 가장 큰 애로사항인 판로확보에도 기여하고 있다.
3차 산업인 농촌체험관광 방문객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농외소득을 창출하고 침체된 농촌공간에 생기를 불어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경북 농업의 6차산업화는 강(江)·산(山)·해(海)라는 천혜의 자연조건과 특화되고 역사성 있는 먹거리 문화를 바탕으로 다른 지자체보다 앞선 경쟁력을 가지고 있어 ‘어떤 구슬을 쓰느냐보다는 어떻게 꿰느냐’가 성패의 열쇠임을 확신하고 있다”며 “경제적 가치를 벗어나 공익적 가치까지 끌어낼 수 있도록 미래지향적 시각으로 농업의 6차 산업화에 전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