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신종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보건용 마스크 생산 업체와 비상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하루에 마스크 1000만개 이상을 생산하기로 했다. 또 폭리를 목적으로 마스크와 손 소독제 등을 매점매석하는 행위에 대해선 엄정 대처하기로 했다.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2일 브리핑에서 “정부는 국민들에 마스크를 원활히 공급하기 위해 제조 업체와 비상 대응체계를 구축·운영 중”이라고 말했다. 현재 보건용 마스크 제조 업체는 공장을 24시간 가동해 하루 평균 800만개를 생산하고 있다. 식약처는 제조 업체들을 독려해 1000만개 이상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처장은 “업체들의 전체 마스크 제조량은 현재 약 3110만개로 파악된다”며 “업체 수는 123곳으로 과거 메르스 사태 당시의 32곳보다 4배 증가돼 생산 능력이 전반적으로 확대됐다”고 말했다.
보건 당국은 손 소독제, 마스크 등의 매점매석에 대해선 식약처, 공정위 등 범정부 단속반을 만들어 엄정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처장은 “얼마 전 나타난 수급 차질 문제는 설 연휴의 생산 저조, 일부 업체의 불공정 행위로 인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현재 온라인과 총판 업체 중심으로 불공정 거래 행위를 엄정 단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물품을 매점하거나 판매를 기피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내용의 고시를 이달 초까지 제정할 예정이다. 이를 위반하면 시정 또는 중지 명령과 함께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기로 했다.
정부는 신종 코로나 확산과 관련한 가짜뉴스에 대한 모니터링과 즉각 대응도 강화할 계획이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보건복지부, 문화체육부, 경찰청 등과 함께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사실관계가 명백히 틀린 가짜뉴스를 지속적으로 감독할 예정”이라며 “적발되면 통신 및 인터넷 사업자에게 신속 전달하고 긴급 심의에 들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신종 코로나 확산과 관련해 신속하고 투명한 정보 공유를 위해 매일 정례 브리핑을 2회씩 진행하고 수시로 보도자료를 배포하겠다”고 덧붙였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