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종 코로나 관련 가짜뉴스 퍼트리는 철부지들

Է:2020-02-03 04:02
ϱ
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산이 계속되면서 잘못된 정보가 퍼져 공포와 불안을 키우는 일이 횡행하고 있다. 어디에서 감염자가 나왔고 어디 어디를 돌아다녔다더라는 정보에 이어 국내 첫 사망자가 나왔다는 가짜뉴스도 인터넷을 떠돌고 있다. 최근에는 감염자 및 접촉자 정보 확인하기 같은 스미싱과 유사한 문자메시지도 발송됐다.

지난 주말 SNS에는 국내 네 번째 확진자가 지난달 31일 오후 5시쯤 ○○병원에서 사망했다는 괴정보가 떠돌아다녔다. 시간과 장소를 적시하고 ‘언론 노출 현재까지 통제 중’이란 문구까지 넣어 그럴듯한 정보로 포장했지만 허위 정보였다. 31일에는 추가 확진자라며 3명의 인적사항과 확진 경위 등이 공문서를 출처로 가장해 유포됐다. 앞서 지상파 방송사 보도로 위장한 ‘수원의 한 고교에서 다섯 번째 확진자’가 나왔다는 허위 뉴스가 인터넷 맘카페 등에 퍼지기도 했다.

가짜뉴스는 막연한 불안감을 먹고 자라나 필요 이상으로 공포를 확대시킨다. 사태 초기 중국 길거리에서 사람들이 갑자기 쓰러지는 영상 등과 달리 최근 유포된 허위 뉴스들은 보다 치밀하게 사실인 듯 포장돼 혼란을 가중한다. 보건 당국이 여러 정보들을 공개하는 와중이어서 진짜와 가짜 정보를 구별하기 어렵다는 점을 노려 기승을 부린다. 가짜뉴스 유포가 단순한 착각 때문일 수도 있다. 하지만 고의든 실수든 허위 뉴스는 언급된 당사자나 기관 등에 직접적인 타격을 준다. 당국과 시민의 대응에 혼선을 일으키고 과잉 대응을 유발한다. 이뿐만 아니다. 방역 당국에 대한 불신을 부추김으로써 방역망 구축에 반드시 필요한 당국과 시민들 사이 신뢰 관계를 근본적으로 훼손시킨다. ‘발 없는 말이 천리를 간다’는 속담이 있듯 근거 없는 소문이 초래하는 부작용은 바이러스보다 더 무서울 수 있다.

경찰은 전국 지방청에 모니터링 요원을 지정해 근거 없는 의혹 제기, 명예 훼손, 개인정보 유출 등을 중점 단속하고 있다. 가짜뉴스를 막기 위해서는 엄중한 대처도 중요하지만 당국이 시민 안전에 필요한 정보의 신속, 투명한 공개 등을 통해 신뢰를 쌓는 일이 필수적이다. 시민들도 냉철하고 합리적인 자세로 방역 당국을 믿고 협조해야 한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