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우한에서 유행 중인 원인불명 폐렴이 국내에서도 처음 발생했다. 보건 당국은 폐렴 증상을 보인 환자를 즉시 격리하고 우한 입국자 정보를 의료기관에 제공함으로써 환자 감시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12월 우한을 방문했던 중국 국적의 36세 여성 A씨가 원인불명 폐렴 조사대상 유증상자로 분류돼 격리 치료 및 검사를 받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질본은 폐렴 또는 폐렴의심증상(발열을 동반한 호흡곤란 등)이 있으면 증상이 나타나기 전 14일 안에 중국 후베이성 우한을 방문한 사람을 조사대상 유증상자로 분류하고 있다. 경기도 소재 회사에서 근무하는 A씨는 업무차 작년 12월 13~17일 우한을 방문해 별다른 증상 없이 30일 입국했다. 그러나 다음 날인 31일부터 기침, 목 붓는 증상이 나타나 지난 2~3일 경기도 오산의 한 병원에 내원했다. 당시 X선 검사에선 정상으로 나왔고 A씨는 감기약을 처방받았다.
지난 6일 다른 병원에 내원한 A씨는 X선 검사에서 폐렴으로 확인돼 곧장 분당서울대병원으로 이송됐고 격리 치료와 역학조사를 받고 있다. A씨는 직장동료 1명과 함께 우한을 방문했고 동거가족은 없다. 질본은 A씨의 직장동료 및 의료진 접촉자에 대해선 폐렴 발병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있다. 질본은 “접촉자 중 현재 유사 증상을 보이는 사람은 없다”고 했다.
원인불명 폐렴 유증상자가 발생함에 따라 질본은 이날 위기평가회의를 열고 9일부터 우한 입국자 정보를 의료기관에 제공하기로 했다. 내원환자의 우한 방문력을 확인함으로써 환자 관리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사람 간 전파 및 의료인 감염의 증거가 아직 없다는 중국 보건 당국의 발표를 근거로 질본은 위기단계를 현 ‘관심’으로 유지하되 유증상자의 검사 및 역학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정을 검토할 예정이다.
질본 관계자는 “우리나라와 우한 간 직항편이 주당 8편 운행되고 평균 200명이 우한에서 입국하고 있다”면서도 “홍콩 등 주변국 상황을 봤을 때 크게 유행하고 있진 않아 우한을 경유해 입국하는 사람까지 의료기관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진 않다”고 했다. 다만 “우한에서 곧장 들어오는 입국자에 대해선 메르스 사태 수준으로 검역을 실시 중”이라고 강조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