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대학교 교수회와 학생회가 5년 만에 부활한 총장직선제의 투표 반영 비율을 놓고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3일 경북대 교수회와 학생회 등에 따르면 경북대는 내년 6월 총장 선거를 치른다. 1990년부터 직선제를 실시했던 경북대는 이명박정부 시절인 2012년 직선제를 폐지하고 간선제를 도입했다. 2017년 전국 대학에서 직선제 부활 분위기가 형성되자 같은 해 간선제를 폐기하고 5년 만에 다시 직선제로 돌아왔다.
그러나 학내 구성원별 투표 반영 비율이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경북대 총장 선거 투표 반영 비율은 교수 80%, 직원·조교·학생·기타 20%다. 20% 중 학생 비중은 4%다.
이에 대해 학생회 측은 구성원 반영 비율이 지나치게 편중돼 있다고 주장하며 반발하고 있다. 경북대 총학생회 산하 ‘경북대 총장직선제 대응 소위원회 대학 민주주의를 위하여’는 최근 비율 재조정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학생회측은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의 투표권은 외면한 채 교수들만을 위한 총장 선거로 전락했다”며 “진정한 민주주의에 걸맞은 총장직선제가 될 수 있도록 내년 총장 선거 전에 투표 반영 비율을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생회측은 교원 대 비(非)교원 각각 50% 적용(학생 25%), 구성원별 3분의 1 동등 조정 중 한 가지를 택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2000여명에 불과한 교수와 직원 투표 반영 비율이 2만6000여명이나 되는 학생들의 반영 비율에 비해 지나치게 높다는 것이다.
교수회측은 학생회 의견에 공감하는 부분이 있고 비율을 조금 더 높이는 것에 대해서도 계속 논의를 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학생회 안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교수회 관계자는 “학생들의 말대로 학생 비율을 높이는 것에 어느 정도 공감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과 계속 이 부분을 협의해나갈 생각”이라며 “우리 대학 교수 비율이 다른 대학에 비해 높지 않고 학생들이 요구하는 비율은 여러 가지를 고려했을 때 그대로 적용하기는 힘들다”고 밝혔다.
한편 내년 경북대를 비롯해 부산대(1월), 경상대(2월), 강원·제주대(3월), 인천대(7월) 등 지역 국공립대학들이 총장 선거를 치름에 따라 ‘학생-교수’ 비율을 둘러싼 의견 충돌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