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경주 월성원전의 사용후 핵연료 보관시설 확충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경주시는 오는 21일 ‘사용후핵연료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와 월성원전 소재지역 의견수렴을 위한 협약식을 갖는다. 논란이 됐던 ‘경주지역실행기구’ 위원 11명을 이날 최종 위촉하고 출범식을 한다.
정부는 재검토위원회를 구성하고 지역실행기구를 통해 주민의견을 물어 관련 시설 건설 여부를 결정하려 했으나 지역실행기구 위원들의 자격요건 논란에 막혀 일정 진행을 못했다.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가운데 맥스터를 추가로 짓기 위해서는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의 운영변경 허가, 경주시의 공작물 축조신고 통과 등을 거쳐야 한다.
월성원자력본부는 지난 2016년 4월 원안위에 운영변경 인허가 신청을 했다. 시설이 포화되기 전에 증설하기 위해서였다. 2016년 당시 81.8%이던 저장률은 지난 6월 기준 96.04%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원안위는 3년 8개월째 심사를 하다 지난 7일에서야 전문위원 회의에서 안전성 평가를 의제로 올렸다. 최종 안건은 20일에 결정하고, 22일 본회의에 심의한다.
월성원전 주변 지역민들은 빠른 시일 내 맥스터 건설을 바라고 있다. 감포읍 주민자치위원회와 이장단협의회 등은 지난 14일 곳곳에 현수막을 내걸고 원안위의 조속한 운영변경 허가를 요구하고 나섰다. 또 주민 의견을 지역실행기구에 반영할 것 등을 요구했다.
최학렬(50) 감포읍주민자치위원장은 “저장시설 포화로 발전소 가동이 중단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 몫”이라며 “28년간 건식저장시설이 운영되고 있지만, 안전성 측면에 문제될 것이 없었기 때문에 원안위는 하루속히 답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