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바람수첩을 만들어 육아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와 가맹점이 상생할 수 있는 시책을 추진하는 게 어떨까요?”
“도지사가 워킹맘 일일체험을 통해 여성의 고충을 이해하고 찾아가는 여성 직장인 간담회를 정례화하는 방안도 좋을 것 같습니다.”
“모듈러 주택 공급을 적극 도입해 주택 가격을 하락시켜 주거 부담을 완화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20일 오후 경북도청 회의실. 경북도에서 수습중인 중앙부처 사무관들이 저출생 대책에 대한 각각의 생각을 쏟아내며 열띤 토론을 펼쳤다. 민선7기 목표 중 하나인 ‘아이 행복한 젊은 경북’ 실현을 위해 저출생 극복을 도정 최우선 과제로 삼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인 경북도가 사무관들의 젊은 생각을 청취해 현장성을 높이겠다는 취지에서 마련한 행사다. 경북도에서 수습중인 사무관 13명은 ‘새바람’ ‘행복’ ‘경북’ 등 3개 팀으로 나눠 각각의 주제를 정하고 한 달여간 저출생 대책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준비해 왔다.
‘새바람’ 팀은 신선한 아이디어들을 쏟아냈다. 안정적인 돌봄 환경조성을 위해 협동조합형 공동육아 주택 ‘이음채’ 공급, 한부모 가정을 위한 대안주거단지 조성, 대학생 아이 돌봄 아르바이트 ‘놀담’ 시행, 우리 동네 보육 애플리케이션 개발, 새바람수첩 등 공동체 친화적 돌봄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생각들이 제안됐다.
‘행복’ 팀은 “국가 주도 출산장려 정책은 한계가 있는 만큼 2040세대의 삶의 질을 개선해 개인의 합리적 선택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북형 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 도지사 워킹맘 일일체험, 찾아가는 여성 직장인 간담회 등 일·가정 양립의 패러다임 전환이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했다.
‘경북’ 팀은 청년 정주 생태계 조성을 위해 거점도시 내 숙박(Accomodation)과 편의(Convenience)시설, 교통(Transportation)을 연계하는 ‘ACT플랜’을 소개했다. 주택의 80%를 공장에서 만들고 조립만 하는 형태인 ‘모듈러 주택’ 공급, 청년을 위한 문화 공간과 지역 산업연계 직업교육 등 편의 제공, 지역은행과 연계한 교통 지원 다양화 등을 제안했다.
수습사무관 대표 권유림씨는 “국가적 과제인 저출생 문제를 함께 고민하는 기회를 갖게 돼 향후 업무 추진에 소중한 경험이 될 것”이라며 “중앙부처에서 근무하더라도 경북도와의 인연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경북은 한때 대한민국을 이끈 지역이었지만 출생아수가 매년 수천명 감소하고 있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수습중인 사무관들의 신선한 아이디어를 정책화하는 방안을 검토해 아이가 행복한 젊은 경북을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저출생 극복 대책 찾아라” 수습 사무관들 경북서 열띤 토론
道, 신선한 아이디어 발굴 위해 마련… 협동조합형 육아주택 등 과제 제시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