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보균(사진) 행정안전부 차관은 행정혁신 전도사로 불린다. 전자정부와 공공빅데이터 등을 총괄하며 공공행정협력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해외에 국내 공공행정 노하우를 전수하고 협력사업을 발굴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심 차관은 5일 국민일보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빅데이터는 유능한 정부, 투명한 정부를 구현해나가는 핵심 열쇠”라며 공공빅데이터 활용을 거듭 강조했다.
올해 행안부는 공공빅데이터 활용으로 국민 생활의 질을 높이는 체감형 정책·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심 차관은 “데이터가 경제적 자산이 되고 가치창출의 원천이 되는 시대가 왔다”며 “부동산종합정보나 상권정보 등 국가중점데이터를 개방하고 올해부터는 기업과 신산업 육성에 필요한 데이터도 중점 개방할 것”이라고 말했다. 버스노선 효율화 작업이나 CCTV 취약지역 분석 등에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선이 이뤄졌듯이 사회 현안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미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를 활용한다는 것이다.
공공빅데이터 활용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심 차관은 “사회 현안에 대한 후속 조치가 아닌 사전 예방을 통해 정책 방향을 변화시켜나갈 수 있다”며 “빅데이터 활용은 선택의 문제가 아닌 국가 경쟁력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빅데이터가 창업과 일자리 창출로도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대표적인 것이 ‘오픈스퀘어-D’다.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창업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도록 지원하는 공간이다. 심 차관은 “관계부처 및 민간과 협업해 창업 전 단계에 걸친 맞춤형 지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해 남은 과제들도 언급했다. 특히 기관 간 데이터 칸막이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아쉬움으로 꼽았다. 심 차관은 “빅데이터 활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는 상황”이라며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면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18년 말을 목표로 ‘공공빅데이터 센터’ 구축도 추진된다. 다수 부처가 연관된 정책을 수립하고 사회적 현안을 해결하는 등 국가 중요 의사결정 과정에 빅데이터를 통한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심 차관은 “정부는 공공데이터 개방 및 공공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며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로 의식주뿐 아니라 의료, 안전 등 국민 생활에 밀접한 분야에서 현안들을 선제적으로 해결하고 국민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심보균 행안부 차관 “빅데이터는 유능하고 투명한 정부 구현하는 열쇠”
“빅데이터 활용은 국가경쟁력 핵심… 기관 간 데이터 칸막이가 걸림돌”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