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국내 최초로 클라우드 관제 시스템을 앞세워 드론 사업에 진출한다. 통신망만 연결되어 있다면 거리에 제한 없이 드론을 조종할 수 있고, 풀HD급 고화질 영상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을 무기로 내세웠다.
LG유플러스는 21일 서울 용산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U+스마트드론 클라우드 드론관제 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상용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통신망을 통해 눈으로 보이지 않는 곳과 야간에도 안정적으로 자율비행을 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됐다. LG유플러스 최주식 FC부문장은 “클라우드 드론 관제 시스템은 물류·보안·측량·안전점검·재난감시 등 기존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네트워크와 솔루션 역량을 집중해 5G 시대의 핵심 서비스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LG유플러스는 용산본사에서 직선으로 8.6㎞ 거리인 서울 마포구 하늘공원에 준비해 놓은 드론을 원격으로 띄워 실종신고된 아동을 3분 만에 찾아낸 뒤 안전요원에게 연결하는 시연 비행을 선보였다. 관제센터에서 명령을 내리자 공원의 드론이 수직으로 40m 고도까지 이륙했다. 이어 드론은 자율비행을 하며 실시간 영상을 관제센터로 전송해 왔다. 목표물이 안전요원에게 인계된 것을 확인한 드론은 비행을 마치고 출발지로 복귀했다.
U+스마트드론 클라우드 드론관제 시스템은 통신 기능을 활용해 드론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항공기의 관제 시스템처럼 드론 운용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또 목적지만 입력하면 드론 이륙에서 비행, 귀환까지 전 과정이 자율주행으로 이뤄진다. 컴퓨터나 태블릿, 스마트폰으로 관제 시스템에 접속이 가능하다.
한 대의 드론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모니터링하거나 한 사람이 복수의 드론 비행 계획을 세우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효율적인 드론 관제 모니터링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의 드론은 비행 도중 촬영한 사진·영상을 저장하는 장치가 필요했다. 이를 회수해 데이터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하지만 LG유플러스는 세계 최초로 드론을 통해 촬영하는 풀HD급 고화질 영상을 실시간으로 IPTV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5G 시대에는 LTE 대비 10여배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면서 “드론이 전송하는 대용량 4K, 8K급의 깨끗한 고화질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으며 원격지에서 더욱 정교한 조종도 가능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거리 제한 없이 드론 조종, 풀HD급 영상 받아 본다
LG유플러스, 클라우드 관제 시스템 국내 최초로 상용화
Ŭ! ̳?
Ϻ IJ о
õ